영화 "교수 목 / 絞首木 / The Hanging Tree" O.S.T.
"교수 목 / 絞首木 / The Hanging Tree"
- 마티 로빈스 / Marty Robbins
I came to town to search for gold 금을 찾으러 마을에 왔어요
And I brought with me a memory 추억을 떠올리며
And I seem to hear the nightly cry 밤바람 우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아요
Go hanging your dream on the hangin‘ tree 그대의 꿈을 교수 목에 거세요
Your dreams of love that could never be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대한 꿈들을
Hang your faith of dream on the hangin‘ tree 그대의 빛바랜 꿈을 교수 목에 거세요
I search for gold and I found my gold 금을 쫓아 내 금을 찾았어요
And I found the girl who love just me 나만을 사랑하는 그녀도 찾았지요
And I wish that I could love her too 나도 그녀를 사랑할 수 있길 바랐지요
But I left my heart on the hangin‘ tree 내 마음을 교수 목에 두고 왔어요
I left my heart with the memory 내 마음의 추억도 교수 목에 두고 왔어요
And the faith of dream on the hangin‘ tree 내 빛바랜 꿈도 교수 목에 두고 왔어요
Now there were man who craved my gold 내 금을 갈망하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And meant to take my gold from me 내게서 금을 뺏으려는 남자들이 있었어요
When a man is gone, he needs no gold 한 남자가 죽으면 그에게 금은 필요 없지요
S0 they carried me to the hangin‘ tree 사람들은 나를 교수 목으로 끌고 왔어요
To join my dreams and a memory 내 꿈과 추억에 동참하기 위해
Yes they carried me to the hangin' tree 그들은 날 교수 목으로 데려왔어요
To really live you must almost die 진정으로 살기 위해서 죽어야만 했어요
And it happened just that way with me 그 일은 내게 그런 식으로 일어났지요
They took for gold and set me free 그들은 내게서 금을 빼앗고 날 풀어줬어요
And I walked away from me hangin' tree 난 교수 목에서 걸어 나올 수 있었어요
I walked away from the hangin' tree 난 교수 목에서 걸어 나왔어요
And my own true love 나만의 진정한 사랑
She'll walked with me 그녀는 나와 함께 걸었어요
That's when I knew 그때 난 깨달았어요
that the hangin' tree was a tree of life, 교수 목은 삶의 나무라는 걸
new life for me, 내게 새로운 삶의
A tree of hope, new hope for me 내게 새로운 희망의 나무라는 걸
A tree of love, new love for me 내게 새로운 사랑의 나무라는 걸
The hangin' tree(the hangin' tree) 교수 목(교수 목)
The hangin' tree(the hangin' tree) 교수 목(교수 목)
The hangin' tree(the hangin' tree) 교수 목(교수 목)
'마티 로빈스(Marty Robbins, 1925-1982)'는 1925년 미국 애리조나(Arizona) 주에서 태어난 미국의 컨트리 음악(Country Music) 가수, 뮤지션, 싱어 송라이터, 배우, 카레이셔입니다. 그는 여러 분야에서 활동한 다재다능한 미국의 컨트리 음악 가수로 그의 명성을 널리 떨쳤던 것입니다.
그의 외할아버지는 텍사스(Texas) 주를 순회하면서 음악과 쇼(Show)를 공연하면서 약을 팔았습니다. 그는 그의 외할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목장에서 음악 공부와 카우보이의 일을 배우기도 하였습니다.
그는 1943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 해군에 입대하였고 해군에 있으면서 하와이 음악(Hawaiian Music)에 취미를 갖고 기타를 배우기 시작하였습니다.
1947년 해군에서 제대를 한 그는 애리조나 주로 돌아와 클럽과 애리조나 주의 메사 라디오 방송국(Mesa Radio Station) 무대에서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의 본명은 '마틴 데비드 로빈슨(Martin David Robbinson)'이었으나 이 때부터 '마티 로빈스(Marty Robbins)'로 이름도 바꿨습니다. 그리고 그는 애리조나 주의 피닉스(Phoenix)에 있는 이동무대인 웨스턴 카라반(Western Caravan)에서 자신만의 TV 쇼를 진행하기도 하였습니다.
1951년 그는 미국의 유명 컨트리 음악 가수인 '리틀 지미 디큰스(Little Jimmy Dickens, 1920-)'의 도움을 받아 콜롬비아 레코드(Columbia Records)사와 손을 잡게 되었고 본격적인 가수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그가 1953년에 발표한 '난 혼자 갈 거야(I'll Go on Alone)'의 곡이 많은 사랑과 함께 크게 히트하였고 빌보드 차트 1위를 차지하면서 내쉬빌( Nashville, Tennessee)의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인 'Grand Ole Opry'에 추대되기도 하였습니다. 이어서 1956년에 '싱잉 더 블루스(Singing The Blues)'의 곡이 빌보드 컨트리 차트 1위에 등극되면서 그의 전성기가 시작되었던 것입니다. 1957년에 발표한 '흰 스포츠 코트(A White Sports Coat)'와 미국의 '델머 데이브스(Delmer Daves, 1904-1977)'가 감독을 맡은 서부 고전 영화 '교수목 / 絞首木(The Hanging Tree, 1959)' O.S.T. 곡으로 '제리 리빙스턴(Jerry Livingston, 1909-1987)'이 작곡을 한 타이를 송(Title Song)인 지금 흐르고 있는 '교수 목 / 絞首木(The Hanging Tree)'도 불러 많은 인기와 함께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특히 이 주제가는 마티 로빈스의 호소력 짙은 목소리로 극중 화면을 압도하여 그해 아카데미 주제가상에 노미네이트 되기도 한 명곡이 되었던 것입니다.
영화 '교수 목(The Hanging Tree)'은 '게리 쿠퍼(Gary Cooper, 1901-1961)'와 '마리아 쎌(Maria Schell, 1926-2005)'이 각각 남여 주인공 역을 맡아 두 남녀의 숭고한 사랑을 열연하여 많은 사랑을 받은 서부 고전 영화 중 명화로 손꼽히는 고전 멜로 명화입니다.
마티 로빈스는 1959년 그의 대표 곡이라 할 수 있는 싱글 '엘파소(El Paso)'를 발표하였고 폭발적인 인기를 이끌어냈습니다. 따라서 같은 해인 1959년 그의 싱글 '엘파소(El Paso)'는 컨트리 음악 사상 처음으로 그래미상을 수상하게 되는 영광을 안았던 것입니다.
그는 주옥 같은 컨트리 음악 '걱정하지 마세요(Don't Worry)', '홍하의 골짜기(Red River Valley)', 1962년 8주 동안 빌보드 차트 1위를 차지한 '데블 우먼(Devil Woman)', '먼, 먼 옛날의(Long, Long Ago)', ‘사랑은 외로워요(Love Is Blue)', ‘흰머리의 내 아버지(That Silver Haired Daddy Of Mine)', '로레도 거리(The Streets Of Laredo)' 그리고 1969년에 발표된 앨범 'It's A Sin'에 수록된 '내게 산을 주었어요(You Gave Me A Mountain)' 등의 곡들도 크게 히트시켰습니다.
'홍하(Red River)'라는 이름의 강은 산골짜기를 따라 강물이 범람할 때 붉은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홍하(Red River)라는 이름의 강은 미국과 캐나다의 여러 곳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홍하의 골짜기(Red River Valley)'라는 노래는 캐나다의 민요라는 설과 이 곡이 뜻하는 '홍하(Red River)'는 캐나다의 마니토바(Manitoba)에서 미국으로 흐르는 강을 의미한다는 설이 지배적이라고 합니다.
기록에 의하면 1870년에 캐나다 마니토바의 홍하(Red River) 지역에서 주민들 간의 소요사태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를 진압하기 위해 캐나다의 위슬리 경이 이끄는 군대(The Wolseley Expedition)가 홍하의 골짜기에 급파되기에 이르렀습니다. 파견 부대의 한 병사와 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이 깊은 사랑에 빠졌습니다. 그리고 이들 연인은 서로 슬픈 이별을 하게 되었습니다. '홍하의 골짜기(Red River Valley)'라는 노래는 이들 연인의 이별의 아픔과 슬픈 사연을 담은 노래로 원작자는 미상이며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온 민요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 노래는 1880년에 미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하였으며 1896에는 미국 뉴욕의 '제임스 캐리건(James Kerrigan)'에 의해서 '밝은 모학 골짜기에서(In The Bright Mohawk Valley)'라는 명칭으로 인쇄되었습니다. 이후 '브라이트 셔먼 밸리(Bright Sherman Valley)', '브라이트 로렐 밸리(Bright Laurel Valley)' 등으로 명칭과 가사가 여러 사람에 의해 바뀌면서 발표되기도 하였습니다. 1925년에는 텍사스 카우보이 가수 '칼 스플라규(Carl T. Sprague, 1895-1979)'가 '카우보이 러브 송(Cowboy Love Song)'으로 리메이크하여 불러 크게 히트하였으며 수많은 카우보이 컨트리 가수 등에 의해 불려진 명곡이 되었습니다.
마티 로빈스는 총 49곡을 빌보드 차트에 올렸으며 이들 곡 중 16곡을 컨트리 차트 1위에 등극시키는 등 컨트리 음악을 비롯해 가스펠, 팝, 하와이 음악 등 여러 장르의 음악도 소화해낸 미국의 뮤지션, 카레이셔, 싱어 송라이터이자 배우이며 전설의 컨트리 음악 가수입니다.
마티 로빈스는 1982년 12월 8일 갑작스런 심장발작에 의해 그의 나이 한창인 5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는 그가 세상을 떠나기 7주 전에 컨트리 음악 명예의 전당과 박물관(The Country Music Hall Of Fame And Museum)에 헌정되기도 하였습니다.
- 김기원의 음악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