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스러운 몰리 / Molly"
- 에디 아놀드 / Eddy Arnold
The war began, and Henry left his farm 전쟁이 일어났어요, 헨리는 농장을 떠났어요
Left his darling Molly with a baby in her arms 얘기를 품에 안고 있는 사랑스러운 몰리를 남겨둔 채
Now the war was over, and their life could begin이제 전쟁은 끝났어요, 그들의 삶은 다시 시작되었어요
Molly saw her darlin' standin' at the door again몰리는 문 앞에 서 있는 사랑하던 헨리를 보았어요
It's so nice to hear your voice again, Molly 그대의 목소리를 다시 들으니 정말 반갑군요, 사랑스러운 몰리
So nice to feel your arms around me, Molly 그대의 품이 무척 따뜻하기만 하네요, 사랑스러운 몰리
Oh, how happy I'd be If I only could see you 오, 그대를 내 눈으로 바라볼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Sweet, sweet Molly(Molly, Molly) 사랑스러운, 사랑스러운 몰리(몰리, 몰리)
Please don't cry(Please don't cry)) 제발 울지 말아요(제발 울지 말아요)
Maybe I should have written 편지를 띄웠어야 했는데
to let you know ahead of time 그대가 미리 알 수 있도록
But I was afraid that you'd worry 하지만 그대가 걱정할 것 같아 두려웠어요
If you knew that I'd gone blind 내가 눈이 멀었다는 걸 알게 되면
Do I hear you cryin', Molly? 사랑스러운 몰리, 울고 있는 거요?
Please don't cry, you silly thing 제발 울지 말아요, 바보 같이
See what you've done? 그대가 이제껏 살아온 걸 봐요?
You've even brought a tear to my eye 그대야말로 내게 눈물 겹도록 대해주었어요
Oh, how happy I'd be If I only could see you 오, 그대를 내 눈으로 바라볼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Sweet, sweet Molly(Molly, Molly) 사랑스러운, 사랑스러운 몰리(몰리, 몰리)
Please don't cry(Please don't cry)) 제발 울지 말아요(제발 울지 말아요)
Where's my son? 내 아들은 어디 있어요?
What does he look like, Molly? 사랑스러운 몰리, 그 얘가 어떻게 생겼어요?
Everyone says he took after me, 사람마다 모두 날 닮았다고 말하던데
Lord, I wish I could see 신이여, 볼 수만 있다면 좋을 텐데
'Come here little man 얘야 이리 오려무나
Don't be afraid, I'm your daddy 두려워 말아라, 난 네 아빠란다
I guess you'll get used to be in time 곧 괜찮아질 거야
Won't he, Molly? 사랑스러운 몰리 안 그래요?
It's so nice to hear your voice again, Molly 그대의 목소리를 다시 들으니 정말 반갑군요, 사랑스러운 몰리
So nice to feel your arms around me, Molly 그대의 품이 무척 따뜻하기만 하네요, 사랑스러운 몰리
Oh, how happy I'd be If I only could see you 오, 그대를 내 눈으로 바라볼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Sweet, sweet Molly(Molly, Molly) 사랑스러운, 사랑스러운 몰리(몰리, 몰리)
Please don't cry(Molly, Molly) 제발 울지 말아요(몰리, 몰리)
Please don't cry 제발 울지 말아요
'에디 아놀드(Eddy Arnold, 1918-2008)'는 1918년 미국 테네시 주 헨더슨(Henderson, Tennessee)에서 태어났습니다. 부드러우면서도 편안하고 신이 내린 구성진 목소리로 미국 음악계에 전설을 남긴 미국의 정상급 국민 가수로 우뚝 서 있습니다.
에디 아놀드는 핀슨 고교(Pinson High School, Pinson, Tennessee)시절부터 기타 연주를 하는 등 18세 되던 해인 1935년에 방송국에 나가 가수로 활약하였습니다. 여기에서 그는 미국의 유명 아코디언 연주자이자 레코딩 아티스트(Recording Artists)이며 가수인 '피 위 킹(Pee Wee King, 1914-2000)'을 만났고 본격적인 음악활동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피 위 킹은 미국의 전설적인 팝 여가수 '패티 페이지(Patti Page, 1927-)'가 리메이크하여 불러 세계적인 인기와 사랑을 듬뿍 받은 '테네시 왈츠(Tennessee Waltz)'의 작곡자로 널리 알려져 있는 미국의 컨트리 뮤직 송라이터입니다. 당시 피 위 킹은 '피 위 킹 골든 웨스트 카우보이스(Pee Wee King And His Golden West Cowboys)' 그룹을 이끌고 있었습니다. 에디 아놀드는 이 그룹에서 기타리스트 겸 보컬로 활동하기도 하였습니다.
에디 아놀드는 1944년 RCA(Radio Corporation of America) 빅터 레코드(RCA Victor Records)사와 손을 잡았고 1948년에 싱글 '내가 그대를 얼마나 사랑하는지(That's How Much I love you)'를 발표하였습니다. 그는 1955년 앨범 'Wanderin''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먼 길을 떠도는 방랑자(Wayfaring Stranger)', '홍하의 골짜기(Red River Valley)' 그리고 1956년에 앨범 'Anytime'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장미 꽃다발(Bouquet Of Roses)', '그것은 바로 죄를 짓는 일이지(It's A Sin)' 지금 흐르고 있는 '사랑스러운 몰리(Molly)', '난 그대를 내 마음 속에 간직할 거에요(I'll Hold You In My Heart)', '애니타임(Anytime)' 등의 곡들은 많은 사랑과 함께 히트하였습니다.
1960년 에디 아놀드는 앨범 'Sings Them Again'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알고 싶지 않아요(I Really Don't Want To Know)'의 곡을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크게 히트시켰습니다. 이 곡은 발표와 동시에 크게 히트한 그의 대표곡이자 명곡이 되었습니다.
특히 '알고 싶지 않아요(I Really Don't Want To Know)'의 곡은 미국 전역에서 대중적인 인기가 가장 높은 노래로 알려졌습니다. 이 곡은 1953년에 '하워드 바네스(Howard Barnes)'가 작사를 하였고 미국의 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인 '돈 로버트슨(Don Robertson, 1922-)'이 작곡하여 발표된 명곡 중 명곡입니다. 돈 로버트슨은 '엘비스 플레슬리(Elvis Aaron Presley, 1935-1977)'가 불러 크게 히트한 '그대의 흔적들(Anything That's Part Of You)'의 작곡자로도 널리 알려진 작곡가입니다. '알고 싶지 않아요(I Really Don't Want To Know)'의 곡은 처음 '레스 폴(Les Paul, 1915-2009)'과 '마리 포드 (Mary Ford, 1924-1977)' 부부 듀엣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그 이듬해인 1954년에 빌보드 차트 핫 100곡 중 한곡으로 선정되기도 한 곡이었습니다.
그후 이 곡은 '보니 귀타(Bonnie Guitar,1923-)'에 이어 '안 머레이(Anne Murray, 1945-)', '코니 프란시스(Connie Francis, 1938-)', '엘비스 플레슬리(Elvis Aaron Presley, 1935-1977)', '로이 크라크(Roy Clark,1933-)', '로즈마리 크룬니(Rosemary Clooney, 1928-2002)', '스킬러 데이비스(Skeeler Davis, 1931-2004)' 등 기라성 같은 톱 가수들에 의해 리메이크되어 불려졌습니다.
지난 2010년에는 미국의 Rock and Roll 가수이며 컨트리 가수이자 피아니스트인 '제리 리 루이스(Jerry Lee Lewis, 1935-)'가 75세의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그의 앨범 속에 불멸의 명곡 '알고 싶지 않아요(I really don't want to know)'의 곡을 수록하였고 그의 노익장을 과시하면서 열창하여 화재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실로 '알고 싶지 않아요(I Really Don't Want To Know)'의 곡은 지구촌 곳곳에 널리 파고들었던 음악으로 대중의 많은 인기와 더불어 유명한 명곡이 되었습니다. 스페인에서는 '자니 로드리게즈(Johnny Rodriguez)'가 스페인어로 불렀고, 덴마크에서는 '크누트 페이퍼(Knud Pfeiffer)'가 덴마크어로 불러 히트했습니다. 이웃 일본에서는 1964년 인기 가수 '스가하라 요우이치(菅原洋一)'가 일본어로 '시리다쿠나이노우(알고 싶지 않아요)'로 번안하여 불러서 크게 히트를 하기도 했습니다.
에디 아놀드는 1960년에 앨범 'You Gatta Have Love'를 출시하였고 수록된 '요즈음 내가 그대를 사랑한다고 말한 적이 있었나요(Have I Told You Lately That I Love You)'의 곡을 불러 많은 사랑과 함께 히트하였습니다. 그리고 1962년에 앨범 'Christmas'를 출시하였고 수록된 '크리스마스가 그리 멀리 있지 않아요(Christmas Can't Be Far Away)', '내가 들은 크리스마스 벨소리(I Heard The Bells on Christmas)' 등의 곡을 히트시켰고 같은 해에 출시한 앨범 'Cattle Call'에 수록된 '소떼들 노래(Cattle Call)', '변덕스러운 바람(Wayward Wind)' 등의 곡도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그리고 '소떼들 노래(Cattle Call)'의 곡은 1991년에 '구스 반 산트(Gus Van Sant, 1952-)'가 감독을 맡은 영화 '아이다호(My Own Private Idaho, 1991)'의 O.S.T. 곡으로 삽입되기도 하였습니다.
1965년에 출시한 앨범 'My World'에 수록된 '세상을 사라지게 해주세요(Make The World Go Away)' 1968년에 출시한 앨범 'The Romantic World'에 수록된 '그렇게 날 쉽게 잊을 수 있나요(Am I That Easy To Forget)', '이 얼마나 경이로운 세상인가(What A Wonderful World)' 1970년에 출시한 앨범 'The Best 2'에 수록된 '날 놓아 주세요(Release Me)' 1971년에 출시한 앨범 'Welcome To My World'에 수록된 '나의 세상으로 오세요(Welcome To My World)',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날 도와주세요(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 1973년에 출시한 앨범 'The Best Of Vol.3'에 수록된 '오늘이 가기 전에(Before This Day Ends)' 1995년에 출시한 앨범 'Greatest Songs'에 수록된 '내 마음 속에 언제나(Always on My Mind)', '빗속에서 울고 있는 푸른 눈동자(Blue Eyes Crying In The Rain)' 등의 곡들을 많은 사랑과 함께 히트시켰습니다.
이렇듯 대중적인 인기가 많은 곡들을 부드럽고 편안하게 흘러내리고 있는 에디 아놀드는 부드러우면서 편안하고 신이 내린 구성진 목소리로 만인의 심금을 감동으로 이끌어냈습니다. 그는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에디 아놀드는 특유의 매끄럽고 세련된 음색으로 그 당시 컨트리 뮤직을 즐겨 듣지 않았던 미국의 대도시 사람들에게도 뜨거운 감동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미국의 대도시 사람들에게 컨트리 뮤직을 좋아하게 하고 컨트리 뮤직을 더욱 사랑하게 만든 컨트리 뮤직 가수 중에 가수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일명 '테네시 시골뜨기(Tennessee Plowboy)'라 불리우기도 한 그는 그의 생애에 무려 28개의 싱글곡을 빌보드 차트 1위에 올리는 등 진기록을 세웠습니다. 그는 다른 어느 가수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많은 싱글곡을 차트에 올린 유명한 컨트리 뮤직 가수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에디 아놀드는 그의 나이 12세 때인 1930년에 그의 부친의 농장이 파산, 경매로 넘어간 후로 유년의 어려운 역경을 견뎌냈고 명실공히 미국 컨트리 뮤직의 거성으로 우뚝 올라섰습니다. 그리고 그는 1966년에 컨트리 뮤직 명예의 전당에 입적하는 영예를 안았고 내쉬빌(Nashville) 최고의 재력가로 올라섰던 것입니다.
2008년 5월 8일 테네시 주 하늘에 그토록 영롱한 빛을 발산하던 커다란 별이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그는 그의 90회 생일을 바로 목전에 두고 불멸의 전설을 남긴 채 우리 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 김기원의 음악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