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편도 승차권 / One Way Ticket" - 닐 세다카 / Neil Sedaka

kwkimkw 2025. 2. 7. 20:54

"편도 승차권 / one Way Ticket"

- 닐 세다카 / Neil Sedaka

 

 

Choo choo train chuggin' down the track     철길을 따라 기차가 칙칙폭폭 달려가고 있어요

Gotta travel on, never comin' back               여행을 떠날 거예요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여행을 말에요

Oh, oh got a one way ticket to the blues      오, 오 쓸쓸하게 홀로 떠나는 편도 승차권에 몸을 실었어요

 

Bye, bye love my baby's leavin' me             안녕, 내 곁을 떠나는 내 사랑이여 안녕

Now lonely teardrops are all that I can see 이제 내 눈엔 그저 처량한 눈물방울밖에 보이지 않고 있어요

Oh, oh got a one way ticket to the blues      오, 오 쓸쓸하게 홀로 떠나는 편도 승차권에 몸을 실었어요

 

I'm gonna take a trip to lonesome town       난 인적이 드문 쓸쓸한 도시로 여행을 떠나

Gonna stay at heartbreak hotel                    상심의 호텔에 머물 거예요

A fool such as I there never was                  나 같은 바보는 없었을 거예요

I cried a tear so well                                     난 자꾸만 눈물을 쏟으며 울고 있어요

 

Choo choo train chuggin' down the track     철길을 따라 기차가 칙칙폭폭 달려가고 있어요

Gotta travel on, never comin' back               여행을 떠날 거예요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여행을 말에요

Oh, oh got a one way ticket to the blues      오, 오 쓸쓸하게 홀로 떠나는 편도 승차권에 몸을 실었어요

 

Interlude                                                       간주

 

Oh, oh got a one way ticket to the blues       오, 오 쓸쓸하게 홀로 떠나는 편도 승차권에 몸을 실었어요

I'm gonna take a trip to lonesome town        난 인적이 드문 쓸쓸한 도시로 여행을 떠나

Gonna stay at heartbreak hotel                     상심의 호텔에 머물 거예요

A fool such as I there never was                   나 같은 바보는 없었을 거예요

I cried a tear so well                                      난 자꾸만 눈물을 쏟으며 울고 있어요

 

Choo choo train chuggin' down the track       철길을 따라 기차가 칙칙폭폭 달려가고 있어요

Gotta travel on, never comin' back 여행을     떠날 거예요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여행을 말에요

Oh, oh got a one way ticket to the blues       오, 오 쓸쓸하게 홀로 떠나는 편도 승차권에 몸을 실었어요

Oh, oh got a one way ticket to the blues       오, 오 쓸쓸하게 홀로 떠나는 편도 승차권에 몸을 실었어요

Oh, oh got a one way ticket to the blues       오, 오 쓸쓸하게 홀로 떠나는 편도 승차권에 몸을 실었어요

 

 

   '닐 세다카(Neil Sedaka, 1939-)'는 미국 출신 피아니스트이며 작곡가이자 팝 록 가수입니다. 그는 13세 때 이미 작곡을 하였으며 고등학교 때 토큰스(The Tokens)라는 음악 그룹을 결성할 정도로 악재였습니다. 피아니스트로 인정 받은 닐 세다카는 1956년 뉴욕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아더 루빈스타인'이 지휘하는 클래식 단원으로 피아노 연주를 하였습니다. 명문 줄리어드 음악원(Juilliard School Of Music's)을 다닌 그는 그의 나이 18세 때인 1957년 아틀란타 레코드사 쿠키스 그룹에 써준 '패싱 타임(Passing Time)'의 곡으로 본격적인 음악 활동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1958년에 '링 로큰롤(Ring A-Rockin)'을 발표하여 솔로로 데뷔하였고 RCA 레코드(RCA victor)사에서 자작곡 '일기(The Diary)"로 화려하게 출발하였습니다. 그해에 작가이며 송라이터인 '하워드 그린필드(Howard Greenfield, 1936-1986)'와 만났으며 공동으로 많은 히트곡을 발표하였습니다.

 

   닐 세다카와 하워드 그린필드는 그 당시 최고의 팝 스타로 차트 정상을 달리고 있는 '코니 프란시스(Connie Francis, 1938-)'에게 준 '바보 같은 큐피드(Stupid Cupid)', '폴링(Fallin')' 등의 곡이 큰 성공을 거두게 되면서 그들의 명성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후 그는 솔로로 활동하여 히트하였으며 하워드 그린필드와 합작으로 만든 곡들이 대부분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닐 세다카는 1959년 '오 캐롤(Oh Carole)'을 크게 히트시켰습니다. 이 곡은 미국의 송라이터 여가수인 '캐롤 킹(Carole King, 1942-)'에 대한 그의 사랑을 꾸밈없이 표현한 곡으로 많은 인기와 함께 사랑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1960년에 그의 대표곡이기도 한 '그대는 나의 모든 것이에요(You Mean Everything To Me)'를 크게 히트시켰습니다. 1961년 '캘린더 걸(Calendar Girl)'이 일본 팝 차트에서 1위에 1962년에 '이별은 힘든 일이지(Breaking Up Is Hard To Do)'가 미국 빌보드 Hot 100 차트 8위, 이지 리슨닝 차트 1위에 각각 올랐고 1963년에는 '라 테르자 루나(La Terza Luna/Waiting For Never)'가 이탈리아 팝 차트 1위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생일 축하(Happy Birthday)', '스윗 식스틴/이팔청춘(Sweet Sixteen)' 그리고 지금 흐르고 있는 '편도 승차권(One Way Ticket)' 등의 곡도 크게 히트시켰습니다.

 

   이후 그는 작곡에 주력하였으며 '톰 존스(Tom Jones, 1940-)'의 '꼭두각시 인형(Puppet Man)', '카펜터스(Carpenters)'의 '솔리테어(Solitaire)' 그리고 부부 듀엣인 '캡틴 엔 테닐(The Captain & Tennille)'의 '사랑이 우리를 지켜줄 거예요(Love Keep Us Together)' 등의 곡을 써주었습니다. 그리고 영국으로 건너가 '엘튼 존(Elton John, 1947-)'이 운영하는 로켓 레코드(Rocket Records)사에서 엘범을 작업하기도 하였으며 이 엘범에 수록된 '빗속의 웃음소리(Laughter In The Rain)'의 곡은 1974년에 발라드 부문 1위와 1975년에 미국 빌보드 Hot 100 차트 1위에 올랐습니다. 그리고 엘튼 존이 백 보컬을 맡은 '증오(Bad Blood)'의 곡은 1975년에 미국 빌보드 Hot 100 차트 1위에 올랐고 '이별은 힘든 일이지(Breaking Up Is Hard To Do)'의 1975년 버젼 곡도 1976년 미국 어덜트 컨템퍼러리 1위에 올랐습니다.

 

   그는 자신의 히트곡 대부분을 애수 어린 아름다운 목소리로 불러 많은 사랑과 인기를 이끌어 낸 미국의 작곡가이자 팝 록 가수입니다.

 

   - 김기원의 음악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