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찬가 / 당신이 나를 사랑한다면
/ If You Love Me"
- 브렌다 리 / Brenda Lee
If the sun should trumble from the sky 태양이 하늘에서 땅으로 떨어진다 해도
If the sea should suddenly run dry 바닷물이 갑자기 말라버린다 하더라도
If you love me really love me 당신이 정말로 나를 사랑한다면
Let it happen I won't care 어떤 일이 일어나도 상관하지 않겠어요
If it seems that everything is lost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사라져버린다 해도
I will smile and never count the cost 어떤 위험 닥쳐도 항상 미소지을 거예요
If you love me really love me 당신이 정말로 나를 사랑한다면
Let it happen darling I won't care 어떤 일이 일어나도 상관하지 않겠어요
Shall I catch a shooting star 별똥별을 잡아서
Shall I bring it where you are 당신에게 가지고 갈까요
If you want me to' I will 당신이 원하면 기꺼이 그렇게 하겠어요
You can set me any task 어떤 일이라도 나에게 맡기세요
I'll do anything you ask 당신이 부탁하면 어떤 일이라도 하겠어요
If you'll only say you love me still 당신이 나만을 영원히 사랑한다면
When at last our life on earth is through 이승에서 우리의 삶이 끝난다면
I will share eternity with you 저승에서의 삶은 당신과 함께하겠어요
If you love me really love me 당신이 정말로 나를 사랑한다면
Let it happen I won't care 어떤 일이 일어나도 상관하지 않겠어요
If you love me really love me 당신이 정말로 나를 사랑한다면
Let it happen darling I won't care 어떤 일이 일어나도 상관하지 않겠어요
'브렌다 리(Brenda Lee, 1944-)'는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 시(Atlanta, Georgia)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녀는 특유의 허스키한 음색으로 애절한 목소리를 구사했던 미국의 팝, 록, 컨트리 가수로 지구촌 곳곳에서 명성을 떨친 미국의 팝, 컨트리 여가수입니다. 6살 때에 TV 방송, 어린이 탈랜트 콘테스트에서 화려한 수상을 하게 되면서부터 연예계에 첫발을 내딛게 되었습니다.
브렌다 리는 '에드 설리반 쇼(The Ed Sullivan Show)', '스티브 아랜 쇼(The Steve Allen Show)', '테네시 어니 포드 쇼(The Tennessee Ernie Ford Show)', '딕 클락 쇼(The Dick Clark Show)', '밥 호프 쇼(The Bob Hope Show)' 등 여러 쇼 프로그램에 출연하였고 그녀의 명성을 널리 떨친 미국의 팝, 컨트리 가수입니다.
브렌다 리는 1955년 미국의 컨트리 스타인 '레드 폴리(Red Foley)'의 소개로 그의 TV 쇼인 ABC-TV 컨트리 뮤직 프로그램 '오자크 쥬빌리(Ozark Jubilee)'에 출연하였습니다. 그녀는 1956년에 데카 레코드(Decca Records)사와 손을 잡았고 첫 싱글 '잠발라야(Jambalaya)', '크리스티 크리스마스(Christy Christmas)' 등의 곡을 발표하여 히트하였고 1957년에는 싱글 '한 번에 한 걸음씩(One Step At A Time)', 1958년에는 '크리스마스 트리와 함께 춤춰요(Rockin' Around The Christmas Tree)' 등의 곡을 발표하였으며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그리고 1959년에 앨범 'Grandma, What Great Songs You Sang!'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머지않은 어느 날(Some Of These Days)', '그저 그냥(Just Because)', '귀여운 아기(Pretty Baby)', '나란히(Side By Side)', '세인트 루이스 블루스(St. Louis Blues)', 1960년 8월에는 앨범 'Brenda Lee'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다이너마이트(Dynamaite)', '사랑의 속삭임(Sweet Nothing)', '미안해요(I'm Sorry)', '그대가 해줘야 해요(That's All You Gotta Do)', 1960년 10월에는 앨범 'This Is...Brenda Lee'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난 사랑하는 사람을 원해요(I Want To Be Wanted)', '프리텐드(Pretend)', '오늘 밤 내게 가르쳐주세요(Teach Me Tonight)', '할렐루야, 난 그를 너무 사랑해요(Hallelujah, I Love Him So)', '블루베리 힐(Blueberry Hill)' 등의 곡이 크게 히트하면서 전 세계에 여자 컨트리 가수, 록큰롤의 여왕(Queen of Rock 'n' Roll) 브렌다 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어서 그녀는 1961년 4월에 앨범 'Emotion'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감동(Emotions)', 지금 흐르고 있는 '사랑의 찬가 / 당신이 나를 사랑한다면(If You Love Me)', '내가 사랑에 빠질 때(When I Fall In Love)', '온 세상에(Around The World)', '내 마음 조지아로(Georgia on My Mind)', '크라이(Cry)', '난 사랑에 빠진 기분이에요(I'm In The Mood For Love)', 1961년 8월에는 앨범 'All The Way'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줄곧(All The Way)', '덤 덤(Dum Dum)', '비극이에요(Tragedy)', '캔자스 시티(Kansas City)', '큰 기회(Big Chance)' 등의 곡을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그리고 브렌다 리는 미국의 배우이자 송라이터인 '조 세네카(Joe Seneca, 1919-1996)'가 쓴 싱글 '내게 조심스럽게 휴식을(Break It To Me Gently)'의 곡을 불렀고 다음 해인 1962년 1월에 빌보드 핫 100 차트 4위에 오르는 등 크게 히트하기도 하였습니다.
1962년 2월에는 앨범 'Sincerely, Brenda Lee'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그 바다는 얼마나 깊나요(How Deep Is The Ocean)', '그대가 너무 그리워요(I Miss You So)', '온리 유(Only You)', '난 그대를 생각할 거예요(I'll Be Seeing You)', 1962년 10월에는 앨범 'Brenda, That's All'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풀 #1(Fool #1)', '은백색 모래(White Silver Sands)', '눈물의 계곡(Valley Of Tears)', '언젠가(Someday)', '그대여 내게 기대세요(You Can Depend on Me)' 등의 곡을 많은 사랑을 받으면서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1963년 2월에는 앨범 'All Alone Am I'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난 혼자예요(All Alone Am I)', '샌프란시스코에 내 마음을 두고 왔지요(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 '홀로된 삶을(All By Myself)', '달나라로 날 데려다 줘요(Fly Me To The Moon)', 1963년 9월에는 앨범 'Let Me Sing'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밤낯없이(Night And Day)', '우리의 시대가 올 거예요(Our Day Will Come)', '당신은 내게서 멀어지고 있어요(Losing You)', 1964년에는 앨범 'By Request'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대단히 감사합니다(Danke Schoen)', '내가 그대를 사랑하는 이유는(I Love You Because)', '여느 때처럼(As Usual)', 1965년 2월에는 앨범 'Brenda Lee Sings Top Teen Hits'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내 곁에 있게 해줘요(Let It Be Me)', '지미 페이지 (Jimmy Page, 1944-)'의 기타 연주와 함께 하드 록 음악을 시도한 '사실인가요(Is It True)', '그대가 날 사랑했을 때(When You Loved Me)', 1965년 5월에는 앨범 'The Versatile Brenda Lee'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진정으로, 진정으로 사실이에요(Truly, Truly True)', '사랑의 편지(Love Letters)', '장미빛 인생(La Vie En Rose)', 1966년에는 앨범 'Comming on Strong'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강력하게(Comming on Strong)', '사랑한다는 말은 하지 않아도 돼요(You Don't Have To Say You Love Me)', '여름 바람(Summer Wind)', '밤에 만난 낯선 사람들(Strangers In The Night)', '어딘가에(Somewhere)', 1969년에는 앨범 'Johnny one Time'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그대 떠나가신다면(If You Go Away)', '내게 햇살을 가져다주세요(Bring Me Sunshine)', '내 생애 단 한 번(For once In My Life)', '떠나세요(Walk Away)' 등의 곡을 그녀 특유의 힘있는 목소리와 애절한 느낌을 전해주는 창법으로 불러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녀는 사랑의 번민을 나타내는 성숙한 발라드의 노래로 당시 수많은 지구촌 연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그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선풍적인 인기를 누렸던 것입니다.
브렌다 리는 1970년대로 접어들면서 다시 컨트리 음악(Country Music)으로 음악적 변신을 하게 됩니다. 그녀는 1973년에 MCA 레코드(MCA Records)사와 손을 잡았고 미국의 배우이자 컨트리 싱어 송라이터인 '크리스 크리스토퍼슨(Kris Kristofferson, 1936-)'이 쓴 싱글 '승자는 없어요(Nobody Wins)'의 곡과 미국의 컨트리 송라이터인 '웨인 카슨(Wayne Carson)', 미국의 싱어 송라이터인 '마크 제임스(Mark James, 1940-)', 미국의 컨트리 음악 뮤지션인 '자니 크리스토퍼(Johnny Christopher)'가 함께 쓴 싱글 '내 마음 속에 언제나(Always on My Mind)'의 곡을 앨범 'Brenda Lee-Brenda'를 통해서 발표하였습니다. 싱글 '승자는 없어요(Nobody Wins)'의 곡은 같은 해 5월 미국 빌보드 핫 컨트리 싱글 차트(The Billboard Hot Country Singles Chart) 5위에 올랐고 캐나다 RPM 컨트리 트랙 차트(The RPM Country Tracks Chart) 1위에 오르는 등 빅 히트를 기록하였으며 싱글 '내 마음 속에 언제나(Always on My Mind)'의 곡은 같은 해에 열린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노래(Song Of The Year)'상과 '최우수 컨트리 송(Best Country Song)'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이어서 같은 해인 1973년에는 앨범 'Brenda Lee-New Sunrise'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미국의 싱어 송라이터인 '마크 제임스(Mark James, 1940-)'가 쓴 싱글 '일요일의 일출(Sunday Sunrise)'의 곡을 같은 해 10월에 미국 빌보드 핫 컨트리 싱글 차트 6위와 캐나다 RPM 컨트리 트랙 차트 8위에 올랐으며 함께 수록된 미국의 시인이자 송라이터인 '쉘 실버스타인(Shel Silverstein, 1930-1999)'이 쓴 싱글 '그릇된 생각(Wrong Ideas)'의 곡을 미국 빌보드 핫 싱글 차트 6위와 캐나다 RPM 컨트리 트랙 차트 5위에 오르는 등 많은 사랑과 함께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1974년에는 앨범 'Brenda Lee-Now'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자니 윌슨(Johnny Wilson)'과 '진 도빈스(Gene Dobbins)'가 쓴 싱글 '록 온 배이비(Rock on Baby)'의 곡을 미국 빌보드 컨트리 차트 6위와 캐나다 컨트리 차트 17위에 올렸으며 함께 수록된 미국의 시인이자 송라이터인 '쉘 실버스타인(Shel Silverstein, 1930-1999)'이 쓴 싱글 '큰 4개의 포스터 침대(Big Four Poster Bed)'의 곡을 미국 빌보드 컨트리 차트 4위와 캐나다 컨트리 차트 2위에 오르는 등 많은 사랑을 받으면서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이어서 1975년에는 앨범 'Sincerely, Brenda Lee'를 통해서 '진 도빈스(Gene Dobbins)'가 썼고 미국 컨트리 가수 '스톤니 에드워드(Stoney Edwards, 1929-1997)'가 불러 1973년에 미국 빌보드 컨트리 차트 20위에 오른 그의 '그녀는 나의 반석이에요(SHe's My Rock)'의 곡에서 '그녀(She's)'를 '그(He's)'로 바꿔 편곡한 싱글 '그는 나의 반석이에요(He's My Rock)'의 곡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곡 역시 미국 빌보드 컨트리 차트 8위에 끌어올리는 등 많은 사랑을 받으며 크게 히트하기도 하였습니다.
브렌다 리는 1980년 1월에 앨범 'Brenda Lee-Even Better'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미국의 컨트리 음악 송라이터인 '벤 피터(Ben Peters, 1933-)'가 쓴 싱글 '어떤 건지 말해주세요(Tell Me What It's Like)'의 곡을 같은 해에 미국 빌보드 컨트리 차트 8위와 캐나다 컨트리 차트 18위에 올렸으며 함께 수록된 미국 팝, 컨트리 싱어 송라이터인 '보비 골드보로(Bobby Goldsboro, 1945-)'가 쓴 싱글 '카우걸과 멋쟁이(The Cowgirl And The Dandy)'의 곡을 역시 같은 해에 미국 빌보드 컨트리 차트 10위와 캐나다 컨트리 차트 8위에 올렸습니다. 그리고 같은 해인 1980년 10월에 발표한 앨범 'Brenda Lee-Take Me Back'를 통해서 미국의 컨트리 싱어 송라이터인 '짐보 힌슨(Jimbeau Hinson, 1952-)'이 쓴 싱글 '깨어진 신뢰(Broken Trust)'의 곡을 발표하였고 미국 빌보드 컨트리 차트 9위와 캐나다 컨트리 차트 14위에 오르는 등 많은 사랑을 받으면서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브렌다 리는 1981년에 앨범 'Brenda Lee-Only When I Laugh'를 발표하였습니다. 1982년에는 미국의 배우이자 컨트리 싱어 송라이터인 '윌리 넬슨(Willie Nelson, 1933-)', 미국의 배우이자 컨트리 싱어 송라이터인 '크리스 크리스토퍼슨(Kris Kristofferson, 1936-)', 역시 미국의 배우이자 컨트리 가수인 '돌리 파튼(Dolly Parton, 1946-)' 등이 함께 참여하여 앨범 'The Winning Hand'를 발표하였고 같은 해에 미국 빌보드 톱 컨트리 앨범 차트(U.S. Billboard Top Country Albums Chart) 4위에 오르는 등 인기를 누리기도 하였습니다. 1985년에는 앨범 'Brenda Lee-Feels So Right', 1991년에는 앨범 'Brenda Lee', 1997년에는 앨범 'Brenda Lee-Precious Memories', 2007년에는 앨범 'Gospel Duets With Treasured Friends' 등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앨범 작업과 외국 순회 공연 등으로 로큰롤의 새로운 스타일인 록커빌리(Rockabille)와 컨트리 음악(Country Music)에서의 그녀의 확고부동한 입지를 완벽하게 굳히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1억장 이상의 앨범 판매고를 올리는 등 여자 가수들 중 최다 앨범 판매고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브렌다 리는 '미스 다이너마이트(Miss Dynamite)'라고 불려졌고 그녀 특유의 다이너믹한 목소리와 가창력에 힘입어 전 세계 30여 개 나라를 순회공연하는 동안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폭발적인 인기와 사랑을 받았습니다. 영국에서는 영국 여왕을 위해서 특별 콘서트 공연을 열었고 멕시코에서는 멕시코 대통령을 위해서 특별 콘서트 공연을 열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벨기에에서는 '에디슨 (Edison)상'을 수상하는 등 그녀의 다이너믹한 열정을 보여주었던 것입니다.
브렌다 리는 1962년 빌보드지 선정 여성 보컬리스트 1위에 선정된 바 있는 그녀 특유의 애절한 목소리로 만인의 가슴을 울렸으며 당대 최고의 보컬리스트로 자리매김하였던 것입니다.
- 김기원의 음악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