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 더 굿 타임스 / 행복했던 시간들을 생각해서
/ For The Good Times"
-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 Kris Kristofferson
Don't look so sad, I know it's over 슬픈 표정 짓지 말아요 난 모든 게 끝났다는 걸 알아요
But life goes on and this old world 하지만 삶이 계속 이어져가듯이 세상도
will keep on turning 변함없이 돌아가겠지요
Let's just be glad 우리 기쁘게 생각해요
we had some time to spend together 우리는 서로 함께했던 행복한 시절이 있었잖아요
There's no need to watch the bridges 마음까지 아파해야 할 필요는 없겠지요
that we're burning 이미 다 끝나버린 일들인데 말이어요
Lay your heard upon my pillow 그대의 머리를 내 베개에 누워보세요
Hold your warm and tender body close to mine 따뜻하고 부드러운 그대를 나에게 더 가까이하세요
Hear the whisper of the raindrops 빗방울들의 속삭임을 들어봐요
fallin'soft against the window 부드럽게 창문을 두드리는 소리를 말이어요
And make believe you love me one more time 그대가 날 사랑한다는 걸 한 번 더 믿게 해주어요
For the good times 행복했던 시간들을 생각해서
I'll get along, you'll find another 난 홀로 지낼 것이고 그대는 다른 사람을 만나겠지요
And I'll be here 난 여기 그대로 있을 거예요
if you should find you ever need me 만약 그대가 언제든 날 필요로 한다면
Don't say a word about tomorrow or forever 내일이나 먼 훗날 얘기는 하지 마세요
There'll be time enough for sadness 슬퍼할 시간은 충분하니까요
when you leave me 그대가 떠나고 난 뒤에도
Lay your heard upon my pillow 그대의 머리를 내 베개에 누워보세요
Hold your warm and tender body close to mine 따뜻하고 부드러운 그대를 나에게 더 가까이하세요
Hear the whisper of the raindrops 빗방울들의 속삭임을 들어봐요
fallin'soft against the window 부드럽게 창문을 두드리는 소리를 말이어요
And make believe you love me one more time 그대가 날 사랑한다는 걸 한 번 더 믿게 해주어요
For the good times 행복했던 시간들을 생각해서
'크리스 크리스토퍼슨(Kris Kristofferson, 1936-)'은 1936년 미국 텍사스 주 브론스빌(Brownsville, Texas) 출신으로 미국의 가수, 작곡가이자 영화 배우로 활동하였습니다. 그는 1954년에 캘리포니아 주에 위치한 포모나 대학교(Pomona College)에서 철학과 문학을 전공한 문학도였습니다. 포모나 대학교 졸업 후에는 영국에 장학생으로 건너가 옥스포드 대학(Oxford University)에서 영문학을 공부하였고 작곡에 흥미를 가지면서 음악 공부에도 열정을 보이기 시작하였습니다. 크리스 크리스토퍼슨의 본명은 '크리토퍼 크리스토퍼슨(Kristoffer Kristofferson)'이었으며 '크리스 카슨(Kris Carson)'이라는 예명으로 '톱 랭크 레코드(Top Rank Records)사와 손을 잡고 싱글 음반을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
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미육군부대(U.S. Army Air Corps)에 장교로 입대하였고 군 헬기 조종사로 복무하였습니다. 군복무시절에는 밴드를 결성하여 순회공연을 펼치기도 하였습니다. 1965년에 전역하였고 테네시 주 내슈빌(Nashville, Tennessee)로 이주하여 본격적인 음악 활동을 펼치기 시작하였습니다.
크리스 크리스토퍼슨은 1966년 싱글 '베트남 블루스(Viet Nam Blues)'의 곡을 작곡하였고 미국의 컨트리 가수 '데이브 더들리(Dave Dudley, 1928-2003)'의 발표로 데뷔하였습니다. 이 곡이 빌보드 컨트리 싱글 차트 12위에 오르는 등 성공을 거두게 되면서 1967년에 에픽 레코드(Epic Records)사와 손을 잡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에픽 레코드사를 통해 싱글 '골든 아이돌 / 킬링 타임(Golden Idol / Killing Time)'을 발표하였으나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였습니다.
그는 1969년에 '일요일 아침은 정말 외로워요(Sunday Mornin' Comin' Down)'을 작곡하였고 '레이 스티븐스(Ray Stevens, 1939-)'의 발표로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이어서 '나와 바비 맥기(Me And Bobby McGee)'의 곡을 작곡하였고 '로저 밀러(Roger Miller, 1936-1992)'의 발표로 많은 사랑과 함께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1970년에 앨범 'Kritofferson'을 발표하였고 많은 사랑을 받으면서 크게 히트하기도 하였습니다. 수록된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날 도와주세요(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의 곡은 크리스 크리스토퍼슨이 직접 작곡하여 부르기도 하였지만 1971년에 미국 여성 컨트리 가수 '새미 스미스(Sammi Smith, 1943-)'에 의해 발표되기도 하였습니다. 새미 스미스가 자신의 데뷔 앨범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에 타이틀곡으로 수록하여 발표하였습니다. 이 곡이 같은 해인 1971년에 빌보드 팝 차트 8위와 컨트리 차트 1위에 오르게 되면서 많은 사랑을 받은 명곡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곡으로 삼미 스미스는 베스트 컨트리 여성 보컬상을 수상하기도 하였습니다.
이 곡은 다시 1972년에 '그레이디스 나이트 & 더 핍스(Gladys knight & The Pips)' 그룹이 리메이크하여 불렀고 그룹 리더 보컬인 '그레이디스 나이트(Gladys Knight, 1944-)'는 그녀 특유의 애틋한 목소리로 불렀으며 폭발적인 인기를 이끌어냈습니다. 그 후 이 곡은 무려 250여 명이나 되는 많은 가수들에 의해 리바이벌 혹은 리메이크되어 불려진 명곡이 되었습니다.
크리스 크리스토퍼슨은 '일요일 아침은 정말 외로워요(Sunday Mornin' Comin' Down)',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날 도와주세요(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와 함께 그의 3대 컨트리 히트곡인 지금 흐르고 있는 '포 더 굿 타임스 / 행복했던 시간들을 생각해서(For The Good Times)'의 곡을 1971년에 잇달아 발표하였습니다. 이 곡은 많은 사랑과 함께 크게 히트하였으며 후에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 1935-1977)', '알 그린(Al Green, 1946-)', '케니 로저스(Kenny Rogers, 1938-)' 등 기라성 같은 유명 가수들에 의해 리바이벌 또는 리메이크되어 불려졌습니다. 그리고 이들 3대 컨트리 히트곡들은 발표와 동시에 세계 곳곳으로부터 많은 사랑과 함께 폭발적인 인기를 끌어모았으며 그의 명성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던 것입니다.
크리스 크리스토퍼슨은 1970년에 미국 컨트리뮤직협회로부터 '올해의 아티스트'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기도 하였습니다. 실로 그는 미국 음악계에서 컨트리 음악이 주도적인 역활을 담당하지 못했던 1970년대 당시에 내슈빌(Nashville) 컨트리와 웨스턴 사운드를 대중화시켰던 대표 주자이며 영향력 있는 작곡활동을 펼친 작곡가로도 유명한 싱어 송라이터, 컨트리 음악 가수이자 배우입니다.
1971년에 '데니스 호퍼(Dennis Hopper, 1936-2010)'가 감독을 맡은 영화 '라스트 무비(The Last Movie, 1971)', 1972년에 '빌 노튼(Bill L. Norton)'이 감독을 맡은 영화 '시스코 픽Cisco Pike, 1972)'에 이어 1973년에는 '샘 페킨파(Sam Peckinpah, 1925-1984)'가 감독을 맡았고 '밥 딜런(Bob Dylan, 1941-)'이 음악을 맡은 영화 '관계의 종말(Pat Garrett And Billy The Kid, 1973)'에 출연하여 열연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1972년에 모뉴멘트 레코드(Monument Records)사와 손을 잡고 컨트리(Country) 음악과 가스펠(Gospel) 음악을 모은 앨범 'Jesus Was A Capricorn'을 발표하였습니다. 수록된 '난 왜 이럴까요(Why Me Lord)'의 곡은 크리스 크리스토퍼슨이 후에 결혼하게 되는 '리타 쿨리지(Rita Coolidge, 1945-)'가 백 보컬을 맡아 부른 곡으로 1973년에 빌보드 컨트리 싱글 차트 1위에 오르는 등 크게 히트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수록된 '그대 몫까지(Enough For You)', '도와주세요(Help Me)', '승자는 없어요(Nobody Wins)', '슈가 맨(Sugar Man)' 등의 곡도 많은 사랑을 받으면서 히트하였습니다.
1976년에는 '프랭크 피어슨(Frank Pierson, 1925-)'이 감독을 맡은 뮤지컬 영화 '스타 탄생(A Star Is Born, 1976)'에서 영화 속 여주인공 '에스터 / Esther Hoffman(바브라 스트라이젠드 분 / Barbra Streisand, 1942-)'의 상대역 '존 노르만 하워드 / John Norman Howard(크리스 크리스토퍼슨 분 / kris Kristofferson, 1936-)' 역으로 출연하여 골든 글로브 남우 주연상을 수상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1980년에 '마이클 치미노(Michael Cimino, 1939-)'가 감독을 맡았고 '데이빗 맨스필드(David Mansfield, 1956-)'가 음악을 맡은 영화 '천국의 문(Heaven's Gate, 1980)', 1996년에 '존 세일즈(John Sayles, 1950-)'가 감독을 맡았고 '메이슨 다링(Mason Daring, 1949-)'이 음악을 맡은 영화 '론 스타(Lone Star, 1996)', 1998년에 '스티븐 노링턴(Stephen Norrington, 1964-)'이 감독을 맡았고 '마크 아이삼(Mark Isham, 1951-)'이 음악을 맡은 영화 '블레이드(Blade, 1998)', 1999년에 '브라이언 헤겔란트(Brian Hegeland, 1961-)'가 감독을 맡은 영화 '페이 백(Payback, 1999)', 같은 해인 1999년에 '존 세일즈(John Sayles, 1950-)'가 감독을 맡았고 '메이슨 다링(Mason Daring, 1949-)'이 음악을 맡은 영화 '림보(Limbo, 1999)', 2001년에는 '팀 버튼(Tim Burton, 1958-)'이 감독을 맡았고 '다니 엘프만(Danny Elfman, 1953-)'이 음악을 맡은 영화 '흑성 탈출(Planet Of The Apes, 2001)'에 출연하였고 연기파 배우로 그의 명성을 날리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5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하였고 그의 노래는 지구촌 만인들의 가슴속을 끊임없이 파고들어 갔으며 잔잔한 울림으로 꾸준하게 울려주었던 뛰어난 작곡가, 연기파 배우이자 가수로 활동한 아티스트로 불멸입니다.
- 김기원의 음악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