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하게 귀의할 거예요 / Sweet Surrender" - 존 덴버 / John Denver
"행복하게 귀의할 거예요 / Sweet Surrender"
- 존 덴버 / John Denver
Lost and alone on some forgotten highway 이름 모를 도로 위에 길을 잃고 홀로 서 있어요
travelled by many remembered by few 길을 알지 못해 무척 헤맸어요
lookin' for something that I can believe in 믿고 의지할 어떤 곳을 찾아서
lookin' for something that I'd like to do with my life 살아가는 동안 하고 싶은 어떤 일을 찾아서 말에요
There's nothin' behind me and nothin' that ties me 내 뒤에 남겨진 건 아무 것도 없고 날 구속하진 못해요
to somethin' that might have been true yesterday 지난날 이루고 싶었던 일들이 말에요
Tomorrow is open and right now it seems to be more 내 앞에 미래는 활짝 열려있고 더 풍요해 보여요
than enough to just be here today 지금 이 곳에 있는 것보다 더욱 풍요하게 말에요
And I don't know 난 몰라요
what the future is holdin' in store 그 미래가 날 위해 무얼 준비하는지 말에요
I don't know where I'm goin', 난 내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몰라요
I'm not sure where I've been 내가 어디에 있는지도 몰라요
There's a spirit that guides me 하지만 날 인도하려는 영혼이 있고
a light that shines for me 날 인도하여 비추는 빛이 있어요
My life is worth the livin', 나의 삶을 살아갈 가치가 있고
I don't need to see the end 난 여기서 나의 삶을 끝낼 수는 없는 거예요
Sweet , sweet surrender 자연의 삶으로 행복하게 귀의할 거예요
live, live without care 근심 없이 자연의 삶을 살아갈 거예요
like a fish in a water 물속에서 자유롭게 유영하는 물고기들처럼
like a bird in the air 하늘에서 자유롭게 날아가는 새들처럼
Sweet , sweet surrender 자연의 삶으로 행복하게 귀의할 거예요
live, live without care 근심 없이 자연의 삶을 살아갈 거예요
like a fish in a water 물속에서 자유롭게 유영하는 물고기들처럼
like a bird in the air 하늘에서 자유롭게 날아가는 새들처럼
Lost and alone on some forgotten highway 이름 모를 도로 위에 길을 잃고 홀로 서 있어요
travelled by many remembered by few 길을 알지 못해 무척 헤맸어요
lookin' for something that I can believe in 믿고 의지할 어떤 곳을 찾아서
lookin' for something that I'd like to do with my life 살아가는 동안 하고 싶은 어떤 일을 찾아서 말에요
There's nothin' behind me and nothin' that ties me 내 뒤에 남겨진 건 아무 것도 없고 날 구속하진 못해요
to somethin' that might have been true yesterday 지난날 이루고 싶었던 일들이 말에요
Tomorrow is open and right now it seems to be more 내 앞에 미래는 활짝 열려있고 더 풍요해 보여요
than enough to just be here today 지금 이 곳에 있는 것보다 더욱 풍요하게 말에요
And I don't know 난 몰라요
what the future is holdin' in store 그 미래가 날 위해 무얼 준비하는지 말에요
I don't know where I'm goin', 난 내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몰라요
I'm not sure where I've been 내가 어디에 있는지도 몰라요
There's a spirit that guides me 하지만 날 인도하려는 영혼이 있고
a light that shines for me 날 인도하여 비추는 빛이 있어요
My life is worth the livin', 나의 삶을 살아갈 가치가 있고
I don't need to see the end 난 여기서 나의 삶을 끝낼 수는 없는 거예요
Sweet , sweet surrender 자연의 삶으로 행복하게 귀의할 거예요
live, live without care 근심 없이 자연의 삶을 살아갈 거예요
like a fish in a water 물속에서 자유롭게 유영하는 물고기들처럼
like a bird in the air 하늘에서 자유롭게 날아가는 새들처럼
Sweet , sweet surrender 자연의 삶으로 행복하게 귀의할 거예요
live, live without care 근심 없이 자연의 삶을 살아갈 거예요
like a fish in a water 물속에서 자유롭게 유영하는 물고기들처럼
like a bird in the air 하늘에서 자유롭게 날아가는 새들처럼
Sweet , sweet surrender 자연의 삶으로 행복하게 귀의할 거예요
live, live without care 근심 없이 자연의 삶을 살아갈 거예요
like a fish in a water 물속에서 자유롭게 유영하는 물고기들처럼
like a bird in the air 하늘에서 자유롭게 날아가는 새들처럼
'존 덴버(John Denver, 1943-1997)'는 1943년 뉴 멕시코에서 태어났습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사랑의 애틋함을 서정적으로 노래한 미국 최고의 컨트리, 포크 음악(Country, Folk Music) 싱어 송라이터로 그의 명성을 날렸습니다. 그는 11세 때부터 그의 할머니가 준 깁슨 기타로 포크 송을 연주하기 시작한 악재로 알려졌습니다.
존 덴버는 평소 산과 자연을 좋아하였습니다. 그의 본명은 '헨리 존 도이첸도르프 주니어(Henry John Deutschendorf, Jr.)'였으나 그의 이름을 산과 자연이 아름다운 콜로라도(Colorado) 주 덴버(Denver)의 지명을 인용하여 존 덴버(John Denver)로 개명하였던 것입니다. 1966년에 앨범 'John Denver Sings'를 발표하였고 비틀즈의 히트곡 '여기에, 저기에 그리고 어디에나(Here, There And Everywhere)', '지난날(Yesterday)', '내 인생에서(In My Life)' 등의 곡을 리바이벌하여 수록하였으며 수록된 '앤(Ann)', '내 사랑 난 정말 가기 싫어요(Babe, I Hate To Go)', '페어웰 파티(Farewell Party)' 등의 곡도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그는 포크 그룹 '채드 미첼 트리오(Chad Mitchell Trio)'와 함께 음악활동을 하였습니다. 그가 작곡한 '비행기를 타고 떠나는(Leaving On A Jet Plane)'의 곡은 포크 그룹 '피터, 폴 앤드 메리(Peter, Paul And Mary)'에 의해 1967년 발표되었고 1969년에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를 기록하면서 그의 명성을 널리 떨치게 되었습니다.
존 덴버는 같은 해인 1969년에 RCA 레코드(RCA Records)사와 손을 잡았고 솔로 앨범 'Rhymes And Reasons'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보통 사람들의 사랑(The Love Of The Common People)', '나비 잡으려고(Catch Another Butterfly)', '백일몽(Daydream)', '스피로 애그뉴의 발라드(The Ballad Of Spiro Agnew)', '서커스(Circus)', '내 나이 예순넷이 되면(When I'm Sixty-Four)', '리차드 닉슨의 발라드(The Ballad Of Richard Nixson)', '운율과 이성(Rhymes And Reasons)', '노란 고양이(Yellow Cat)', '비행기를 타고 떠나는(Leaving on A Jet Plane)', '난 자유를 어떻게 느낄지 알고 싶어요(I Wish I Knew How It Would Feel To Be Free)', '오늘은 내 남은 인생의 첫날이에요(Today Is The First Day Of The Rest Of My Life)', 1970년에는 앨범 'Take Me To Tomorrow'를 발표하였으며 수록된 '이사벨(Isabel)', '날 따라와요(Follow Me)', '숲 잔디(Forest Lawn)', '암스테르담(Amsterdam)', '내 마음 속의 캐롤라이나(Carolina In My Mind)', '지미 뉴먼(Jimmy Newman)', '몰리(Molly)' 이어서 같은 해 10월에는 앨범 'Whose Garden Was This'를 발표하였으며 수록된 '집을 떠나 멀리 항해(Sail Away Home)', '옛 딕시로 가던 날 밤(The Night They Drove Old Dixie Down)', '누구의 정원이었을까요(Whose Garden Was This)', '게임은 끝났어요(The Game Is Over)', '엘리너 릭비(Eleanor Rigby)', '징글 벨(Jingle Bells)' 등의 곡을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존 덴버는 1971년에 앨범 'Poems, Prayers &Promises'를 발표하였고 빌보드 차트 정상에 오르게 되면서 밀리언 셀러 음반 기록을 세웠습니다. 수록된 '시, 기도와 약속(Poems, Prayers And Promises)', '그냥 내버려둬요(Let It Be)', '나의 사랑스러운 여인(My Sweet Lady)', '정크(Junk)', '내 고향 시골길로 날 데려다 주어요(Take Me Home, Country Roads)', '그는 오히려 콜로라도에 있을 거로 추측했어요(I Guess He'd Rather Be In Colorado)', '내 어깨 위로 비추는 햇살은(Sunshine On My Shoulders)', '주변(Around &Around)', '불과 비(Fire And Rain)', '더 박스(The Box)', 이어서 같은 해 11월에는 앨범 'Aerie'를 발표하였으며 수록된 '애스펜의 스타우드(Starwood In Aspen)', '매일(Everday)', '뉴 올리언스의 도시(City Of New Orleans)', '모든 내 기억들은(All Of My Memories)', '독수리와 매(The Eagle And The Hawk)', '도구(Tools)', 그리고 1972년에는 앨범 'Rocky Mountain High'를 발표하였으며 수록된 1973년 빌보드 톱 텐에 오른 '드높은 로키산맥(Rocky Mountain High)', '대자연의 아들(Mother Nature's Son)', '파라다이스 / 천국(Paradise)', '다시 패로우(Darcy Farrow)', '포로(Prisoners)', '다시 안녕(Goodbye Again)', '시즌 스위트: 여름(Season Suite: Summer)', '시즌 스위트: 가을(Season Suite: Fall)', '시즌 스위트: 겨울(Season Suite: Winter)', '시즌 스위트: 늦겨울(Season Suite: Late Winter)', '시즌 스위트: 봄(Season Suite: Spring)' 등의 곡을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특히 '드높은 로키산맥(Rocky Mountain High)'의 곡은 2007년에 콜로라도(Colorado) 주의 주가로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존 덴버는 1973년에 앨범 'Farewell Andromeda'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차라리 카우보이가 되고 싶어요(I'd Rather Be A Cowboy)', '버클리 우먼(Berkeley Woman)', '몽고메리의 천사(Angel From Montgomery)', '사랑의 강(River Of Love)', '로키산맥 스위트(Rocky Mopuntain Suite)', '위스키 분지 블루스(Whisky Basin Blues)', '달콤한 고통(Sweet Misery)', '재커리와 제니퍼(Zachary And Jennifer)', '우린 더는 여기에 살지 않을 거예요(We Don't Live Here No More)', '페어웰 안드로메다 / 안드로메다 별이여 영원히(Farewell Andromeda)', 1974년에는 앨범 'Back Home Again'을 발표하였으며 수록된 '내가 시골뜨기인 것을 감사드려요(Thank God I'm A Country Boy)'의 곡이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와 빌보드 핫 컨트리 싱글 차트 1위에 오르면서 크게 히트하는 등 '집으로 돌아가는 건(Back Home Again)', '온 더 로드(On The Road)', '할머니의 깃털 침대(Grandma's Feather Bed)', '매튜(Matthew)', '애니의 노래(Annie's Song)', '당신에게 달려있어요(It's Up To You)', '이클립스(Eclipse)', 지금 흐르고 있는 '행복하게 귀의할 거예요(Sweet Surrender)', '이 오래된 기타는(This Old Guitar)' 등의 곡을 많은 사랑과 함께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애니의 노래(Annie's Song)'의 곡은 그가 캠퍼스 커플로 1967년에 결혼했던 그의 부인 '애니 마텔(Annie Martell)'을 위해 만든 곡이었다고 합니다. 이 곡은 많은 사랑과 함께 인기를 이끌어내면서 전미 차트 정상에 오르기도 하였습니다.
1975년에 앨범 'An Evening With John Denver'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섬머(Summer)', '오늘(Today)', '오하이오 주 톨레도의 토요일 밤(Saturday Night In Toledo, Ohio)', 이어서 같은 해에는 앨범 'Winds Song'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윈드 송(Windsong)', '카우보이의 기쁨(Cowboy's Delight)', '스피리트(Sprit)', '사랑은 어디에나(Love Is Everywhere)', '미안해요(I'm Sorry)', '멀리 날아가(Fly Away)', '칼립소(Calypso)', '와이오밍의 노래(Song Of Wyoming)', 앨범 'Rocky Mountain Christmas'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크리스마스 송(The Christmas Song)', '루돌프 사슴코(Rudolph The Red-Nosed Reindeer)', '실버 벨(Silver Bells)', '카우보이 크리스마스(Christmas For Cowboys)', '멀리 마구간에서(Away In A Manger)', '이 아이 누구인가요(What Child Is This)', '코벤트리 캐럴(Coventry Carol)', '오 거룩한 밤(Oh Holy Night)', '고요한 밤, 거룩한 밤(Silent Night, Holy Night)', 그리고 1976년에는 앨범 'Spirit'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엘리의 노래(Eli's Song)', '히치하이커(Hitchhiker)', '물방울 달빛(Polka Dots And Moonbeams)', '그대여, 오늘 밤 좋아 보여요(Baby, You Look Good To Me Tonight)', '슬픈 노래처럼(Like A Sad Song)', '샌 안토니오 장미(San Antonio Rose)', '페가수스(Pegasus)', 1977년에는 앨범 'I Want To Live'를 발표하였으며 수록된 '내가 어떻게 다시 그대를 떠날 수 있을까요(How Can I Leave You Again)', '트레이드 윈즈(Trade Winds)', '날 놀라게 해요(It Amazes Me)', '야생의 자연 속으로(To The Wild Country)', '나는 살고 싶다(I Want To Live)' 등의 곡들을 크게 히트하면서 TV 특집 쇼에 출연하는 등 맑고 높은 목소리와 함께 잔잔하게 흐르는 통기타의 연주로 서정적인 노래를 불러 지구촌 곳곳에서 더욱 많은 사랑을 받았던 것입니다.
존 덴버는 1977년에 콜로라도 주로부터 '콜로라도 계관시인(Poet Laureate Of Colorado)'의 칭호를 수여받는 영광을 안았습니다. 그리고 같은 해인 1977년에 '칼 라이너(Carl Reiner, 1922-)'가 감독을 맡았고 '램블린 잭 엘리어트(Ramblin' Jack Elliot, 1931-)'가 음악을 맡은 영화 '오, 하느님 / 존 덴버의 할렐루야(Oh, God, 1977)'에 출연하여 많은 사랑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존 덴버는 1979년에 앨범 'John Denver'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사랑스러운 멜린다(Sweet Melinda)', '무슨 생각을 하세요(What's on Your Mind)', '요셉과 조(Joseph And Joe)', '삶이 아주 좋아요(Life Is So Good)', '자니 비 굿(Johnny B. Goode)', '당신은 아주 아름다워요(You're So Beautiful)', '사우스 윈드(Southwind)', '가든 송(Garden Song)', 1980년에는 앨범 'Autograph'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산과 함께 춤을(Dancing With The Mountains)', '산 노래(The Mountain Song)', '삶에 대한 노래(Song For The Life)', '세인트 앤 릴의 발라드(The Ballad Of St. Anne's Reel)', '내 마음에서(In My Heart)', '미국 아이(American Child)', '전투가 끝났어요(You Say That The Battle Is Over)', 1981년에는 앨범 'Some Days Are Diamonds'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다이아몬드같이 빛나는 날(Some Days Are Diamonds)', '혼자 자고(Sleepin' Alone)', '쉽고, 편안하게(Easy, On Easy Street)', '카우보이와 숙녀(The Cowboy And The Lady)', '컨트리 러브(Country Love)', '내가 깨닫기 전까지(Till You Opened My Eyes)', 1982년에는 앨범 'Seasons Of The Heart'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아마도 사랑은(Perhaps Love)'의 곡을 스페인 출신으로 세계적인 성악가인 테너 가수 '플레시도 도밍고(Placido Domingo, 1941-)'와 듀엣으로 불러 크게 히트하였으며 함께 수록된 '마음의 계절(Seasons Of The Heart)', '반대 테이블(Opposite Tables)', '비교적으로 말하면(Relatively Speaking)', '꿈(Dreams)',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What on e Man Can Do)', '상하이의 산들바람(Shanghai Breezes)', '섬(Islands)', '솔직한(Heart To Heart)', '우주의 어린이(Children Of The Universe)' 등의 곡을 많은 사랑을 받으면서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특히 듀엣곡 '아마도 사랑은(Perhaps Love)'의 곡은 매우 소박하고 순수한 사랑을 표현한 내용이 담긴 가사로 컨트리 송을 전 세계적인 크로스오버(Crossover) 음악 장르로 승화시킨 명곡으로 평가되기도 하였습니다.
존 덴버는 1983년에 앨범 'It's About Time'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단단히 붙잡아요(Hold On Tightly)', '그대 생각에(Though Of You)', '꿈의 날개를 타고(On The Wings Of A Dream)', '비행(Flight)', '월드 게임(World Game)', '때가 됐어요(It's About Time)', 1985년에는 앨범 'Dreamland Express'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드림랜드 익스프레스(Dreamland Express)', '클로뎃(Claudette)', '그대의 사랑을 보내줘요(Gimme Your Love)', '만약 지금(If Ever)', '눈물의 길(The Trail Of Tears)', '아프리카 일출(African Sunrise)', 1986년에는 앨범 ' one World'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다시 사랑을(Love Again)', '난 당신을 기억해요(I Remember You)', '함께 달려요(Along For The Ride)', '진정한 사랑은 시간이 걸려요(True Love Takes Time)', '하나의 세계(One World)', 1988년에는 앨범 'Higher Ground'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저 높은 곳을 향하여(Higher Ground)', '집에서 가꾼 토마토(Homegrown Tomatoes)', '제시의 속삭임(Whispering Jesse)', '단 한 번도 의심한 적이 없어요(Never A Doubt)', '호주 노래(Sing Australia)', '당신을 위하여(For You)', '이 모든 기쁨(All This Joy)', '낙엽(Falling Leaves)', '빵과 장미(Bread &Roses)', '알래스카와 나(Alaska &Me)', 1990년에는 앨범 'The Flower That Shattered The Stone'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바위를 깨뜨린 꽃(The Flower That Shattered The Stone)', '당신 덕분이에요(Thanks To You)', '독수리와 말처럼(Eagles And Horse)', 1991년에는 앨범 'Different Directions'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포터스 휠(Potter's Wheel)', '조랑말(Ponies)', '바뀌에 체인을(Chained To The Wheel)', '두 개의 서로 다른 방향(Two Different Directions)', '아마존(Amazon)', 그리고 1997년에는 그의 마지막 앨범인 'All Aboard'를 발표하였으며 수록된 '화물 열차 부기(Freight Train Boogie)', '스틸 레일(Steel Rails)', '열차를 기다리며(Waiting For A Train)', '난 기찻길 위에서 일했어요(I've Been Working on The Railroad)', '오래된 기차(Old Train)', '기적을 만드는 작은 엔진(The Little Engine That Could)', '마지막 호보(Last Hobo)' 등의 곡을 크게 히트하면서 세계 곳곳으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은 미국 컨트리, 포크 음악의 최고 싱어 송라이터였습니다.
존 덴버는 골드 앨범 12장과 플레티넘 앨범 4장을 기록하였고 1975년에는 미국 컨트리 음악협회(Country Music Association)가 선정한 '올해의 연예인 상'을 수상하는 영예도 안았습니다. 그리고 1996년에 미국 송라이터스 명예의 전당(Songwriters Hall Of Fame)에 헌액되었고 2014년에는 헐리우드 스타의 거리(Hollywood Walk Of Fame)에 이름을 올리기도 하였습니다. 존 덴버는 야생동물과 자연보존에 남다른 열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20여 년 동안 전 세계의 기아와 빈곤을 퇴치하기 위한 '국제연합아동기금(UNICEF)' 운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하기도 하였습니다.
존 덴버는 1982년에 앤 마텔과 헤어졌고 1988년에 재혼한 두 번째 부인이며 호주의 배우였던 '카산드라 델라니(Cassandra Delaney)'와도 1993년에 헤어졌습니다. 그리고 같은 해인 1993년에 콜로라도 주 애스펀(Aspen, Colorado)에서의 불미스런 음주운전 사고, 환경운동, 반전 운동 등으로 한동안 음악활동을 중단하기도 하였습니다.
1997년 10월 12일은 존 덴버에게 있어 불운한 날이었고 실로 안타까운 날이었습니다. 그가 조종간을 잡은 경비행기가 갑작스러운 사고로 캘리포니아 몬터레이 배이(Monterey Bay, California)에 추락하였습니다. 그는 그의 나이 54세를 일기로 그가 그토록 그리던 자연의 품속으로 들어서고 말았던 것입니다.
- 김기원의 음악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