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우리 어디로 가는 거야" - 블랙모어스 나이트 / Blackmore's Night
"이제 우리 어디로 가는 거야 / Where Are We Going From Here"
- 블랙모어스 나이트 / Blackmore's Night
on a long road, miles to go 멀고 먼 여정의 길
It's winding and cold and it's covered with snow 하얗게 눈 덮인 춥고 바람부는 낯선 길
But I ask you what we all want to know 우리 모두가 알고 싶어 하는 의문들
Where are we going from here 이제 우리 어디로 가는 거야
Lines on my face, lines on my hands 주름져 가는 얼굴 주름져 가는 손
Lead to a future I don't understand 무엇이 기다리고 있는 지 알 수 없는 미래
some things don't go as they're planed 예기치 않았던 일들을 겪으며
Where are we going from here 이제 우리 어디로 가는 거야
Tracing the trails through the mirrors of time 알 수 없는 시간의 거울을 지나서 추적하며 가는 길
spinning in circles with riddlees in rhyme 이상한 여행 수수께끼처럼 발자취를 돌아보며
We lose our way, 길 잃은 우리
trying to find searching to find our way home 고향으로 찾아 나선 막막한 길
trying to find our way home 고향으로 찾아 가는 길
Interlude 간주
As the day dies, with tears in our eyes 인생의 끝에서 슬픈 눈물에 젖어 시간은 흐르고
There's too few hellos and too many goodbyes 사랑하는 이들도 하나둘씩 작별인사를 하며 떠나 가는데
silence answer our cries 아무리 울부짖어도 이렇듯 고요한 침묵만 흐르는데
Where are we going from here 이제 우리 어디로 가는 거야
We're all on this road with miles to go 우린 한참 멀리 달려온 이 길 위에 서 있지만
braving new pathways into the unknown 미지의 새로운 길을 지금 두려움도 없이
But who do you ask, when no one really knows어느 누군가가 그 길을 정말 알 수 없을 때 그대에게 묻겠지
Where are we going from here 이제 우리 어디로 가는 거야
Tracing the trails through the mirrors of time 알 수 없는 시간의 거울을 지나서 추적하며 가는 길
spinning in circles with riddlees in rhyme 이상한 여행 수수께끼처럼 발자취를 돌아보며
We lose our way, 길 잃은 우리
trying to find searching to find our way home 고향으로 찾아 나선 막막한 길
trying to find our way home 고향으로 찾아 가는 길
trying to find our way home 고향으로 찾아 가는 길
trying to find our way home 고향으로 찾아 가는 길
Where are we going from here 이제 우리 어디로 가는 거야
Where are we going from here 이제 우리 어디로 가는 거야
'블랙모어스 나이트(Blackmore's Night, 1997)' 그룹은 1997년에 영국 '하드 록(Hard Rock)' 밴드 '딥 퍼플(Deep Purple, 1969)' 그룹의 기타리스트인 영국 출신 '리치 블랙모어(Richie Blackmore, 1945-)'와 그의 아내이자 미국 출신인 '캔디스 나이트(Candice Night, 1971-)'가 결성한 르네상스 풍의 포크 록(Folk Rock) 뉴 에이지 밴드 그룹입니다. 리치 블랙모어는 영국 하드 록의 선두주자 중 하나인 딥 퍼플 밴드 그룹에서 하드 록은 물론 '사이키델릭 록(Psychedelic Rock)', '프로그레시브 록(Progressive Rock)'을 주도한 영국의 세계적인 기타리스트입니다. 1975년에는 별도로 하드 록 밴드 그룹인 '레인보우(Rainbow, 1975-1984, 1993-1997)'를 결성하였고 영국과 미국 무대에서 음악활동을 펼쳤으며 하드 록의 역사를 창조한 세계적인 뮤지션으로 자리잡았던 것입니다. 1997년에는 하드 록에서 서정적인 포크 록으로 변신한 리치 블랙모어와 캔디스 나이트가 부부 포크 록 그룹인 '블랙모어스 나이트(Blackmore's Night, 1997)' 그룹을 결성하면서 레인보우 그룹은 자연 해체되었습니다.
블랙모어스 나이트 그룹은 1997년 첫 데뷔 앨범 'Shadow Of The Moon'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달의 그림자(Shadow Of The Moon)', '오션 집시(Ocean Gypsy)', '마지막 기회(No Second Chance)', '바다의 정령(Spirit Of The Sea)', '그린슬리브스(Greensleeves)' 등의 곡을 많은 사랑을 받으면서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오션 집시(Ocean Gypsy)'의 곡은 1970년대에 미국과 영국에서 활발한 활동을 했던 영국 출신의 클래시컬 록(Classical Rock) 그룹인 '르네상스(Renaissance, 1969-1987, 1998-2002, 2009-)' 그룹이 1975년에 발표한 앨범 'Schehera Zade And Other Stories'에 수록된 곡으로 르네상스 그룹의 대표곡이 되었던 음악입니다. 당시 이 곡은 클래식의 웅장함과 스탠다드 팝의 요소가 잘 가미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보컬인 '애니 해슬램(Annie Haslam, 1947-)'이 안정감 있고 아름다운 목소리로 불러 지구촌 만인들로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끌어모았던 명곡입니다. 이후 이 곡은 1997년에 블랙모어스 나이트 그룹에 의해 리메이크되어 불려졌고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블랙모어스 나이트 그룹의 보컬인 캔디스 나이트의 청아하고 몽환적인 목소리와 리치 블랙모어의 어쿠스틱 기타 연주가 조화를 이루면서 다시 한 번 지구촌 곳곳에서 사랑을 받게 된 명곡으로 자리매김하였던 것입니다.
'그린슬리브스(Greensleeves)'의 곡은 16세기 이전부터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전래되어 불려진 민요로 작곡자는 미상입니다. '그린슬리브스(Greensleeves)'는 '푸른옷소매(Greensleeves)' 드레스를 입은 신비로운 매력을 지닌 콧대 높은 한 여성을 지칭한 별명입니다. '그린슬리브스 / 푸른옷소매(Greensleeves)'라는 별명을 가진 그 여성은 그녀를 좋아하는 남성들에게 절망과 슬픔을 안겨줬으며 그런 남성들의 애통함과 상실감을 표현한 이얘기가 노래로 전래되어 내려온 민요입니다.
16세기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Elizabethan Era) 대문호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1564-1616)'의 희곡 '헨리 4세(King Henrry Ⅳ)'에 나오는 호색가인 '존 폴스타프(Sir John Falstaff)'에 대해 여왕이 윌리엄 셰익스피어에게 별도의 당부를 했다고 합니다. 극중 호색한 존 폴스타프가 사랑에 번민하는 모습을 보고싶다는 엘리자베스 여왕의 요청에 따라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희곡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The Merry Wives Of Winsdor)'을 내놓았다고 합니다.
당시 금광을 찾아다니는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불려진 '그린슬리브스(Greensleeves)'의 곡은 윌리엄 셰익스피어 희곡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을 바탕으로 한 전 4막 오페라 '사랑에 빠진 존(Sir John In Love)'의 제3막에 인용되기도 하였던 명곡입니다. 다시 '그린슬리브스(Greensleeves)'의 곡은 영국의 국민주의 작곡가이며 영국이 낳은 금세기 최고의 작곡가로 평가를 받고 있는 '랄프 본 윌리엄스(Ralph Vaughan Williams, 1872-1958)'에 의해 '그린슬리브스에 의한 환상곡(Fantasia on Greensleeves)'이 작곡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미국 MGM(Metro-Goldwyn-Mayer)사의 역작으로 '존 포드(John Ford, 1894-1973)', '헨리 헤서웨이(Henry Hathaway, 1898-1985)', '조지 마샬(George Mashall, 1891-1975)' 등 3명이 각각 감독을 맡았고 '알프레드 뉴먼(Alfred Newman, 1901-1970)'이 음악을 맡았으며 '제임스 스튜어트(James Stewart, 1908-1997)', '캐롤 베이커(Carroll Baker, 1931-)', '헨리 폰다(Henry Fonda, 1905-1982)', '그레고리 펙(Gregory Peck, 1916-2003)', '존 웨인(John Wayne, 1907-1979)', '리차드 위드마크(Richard Widmark, 1914-2008)' 등 24명에 달하는 대스타들이 총출동한 영화로도 유명한 서부영화의 걸작 '서부의 개척사 / 西部開拓史(How The West Was Won, 1962)'의 O.S.T. 테마곡으로 '그린슬리브스(Greensleeves)'의 곡이 선정되기도 한 세계적인 명곡이 되었습니다. '그린슬리브스(Greensleeves)'의 곡은 전원풍의 목가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게 하면서 아련한 향수를 느끼게 하는 신비스러운 선율로 지구촌 만인들의 심금을 끊임없이 울려주고 있는 명곡인 것입니다.
블랙모어스 나이트 그룹은 1999년에 앨범 'Under A Violet Moon'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보라빛 달빛 아레에서(Under A Violet Moon)', '꿈의 성(Castles And Dreams)', '모닝 스타 / 샛별(Morning Star)', 러시아 민요 '바람과 함께 사라졌어요(Gone With The Wind)', '풀스 골드(Fool's Gold)', '계속해서(Now And Then)', 2001년에는 앨범 'Fires At Midnight'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별들로 쓰였어요(Written In The Stars)', '밥 딜런(Bob Dylan, 1941-)'이 1963년에 불러 영국 싱글 차트 9위에 올랐고 롤링 스톤지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500곡 중 59위에 오른 '시대는 변하고 있어요(The Times They Are A Changin')'의 곡을 리메이크한 '시대는 변하고 있어요(The Times They Are A Changin')', '난 아직 기억하고 있어요(I Still Remember)', '다시 집으로 돌아가고 싶어요(Home Again)', '한밤중의 불(Fires At Midnight)', '폭풍(The Storm)', '모두가 당신 때문에(All Because Of You)', '모래 마을(Village on The Sand)', 2003년에는 앨범 'Ghost Of A Rose'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만달레이 방법(Way To Mandalay)', '카르투슈(Cartouche)', '존 바에즈(Joan Baez, 1941-)'가 1975년에 '밥 딜런(Bob Dylan, 1941-)'을 회상하며 만든 '행복과 상처(Diamonds And Rust)'의 곡을 리메이크한 '행복과 상처(Diamonds And Rust)', '한 송이 장미의 유령(Ghost Of A Rose)', '로렐라이(Loreley)', 지금 흐르고 있는 '이제 우리 어디로 가는 거야(Where Are We Going From Here)', '민들레 와인(Mandelion Wine)' 등의 곡을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블랙모어스 나이트 그룹은 중세 유럽 풍의 섬세하고 서정적인 음악을 구사하였고 미국과 영국에서 그들의 명성을 널리 떨친 서정적인 포크 록 그룹입니다.
2006년에는 앨범 'The Village Lanterne'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25년(25 Years)', '더는 문제가 안 된다고 생각해요(I Guess It Doesn't Matter Anymore)', '내 이름을 부르기만 하세요 / 당신 곁으로 갈 거예요(Just Call My Name / I'll Be There)', '풍차(Wind Mills)', 이어서 같은 해인 2006에는 앨범 'Winter Carols'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크리스마스 이브(Christmas Eve)', '즐거운 성탄이 되시길 바래요(We Wish You A Merry Christmas)', 2008년에는 앨범 'Secret Voyage'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비밀 여행(Screet Voyage)', '우리 / 새장(Gilded Cage)', '내일을 위해 건배(Toast To Tomorrow)', '집시 자매(Sister Gypsy)', '농부의 약속(Peasant's Promise)', 2010년에는 앨범 'Autumn Sky'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방랑자(Vagabond)', '날 믿어줘요(Believe In Me)', '노래를 위해서(Sake Of The Song)', '딸기 소녀(Strawberry Girl)', '다크니스(Darkness)', 2013년에는 앨범 'Dancer And The Moon'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트로이카(Troika)', '마지막 잎새(The Last Leaf)', '댄서와 달(Dancer And The Moon)', '바다 넘어 어딘가에 / 달은 빛나고(Somewhere Over The Sea / The Moon Is Shining)' 등의 곡을 많은 사랑과 함께 크게 히트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해왔습니다.
블랙모어스 나이트 그룹은 주로 유럽 중세 시대를 동경하는 곡들을 구사했으며 소박한 포크사운드에 역점을 두면서 고풍스럽고 클래시컬한 음악을 추구하였습니다. 블랙모어스 나이트 그룹은 중후한 중세 시대의 짚시 풍을 느끼게하는 클래시컬 록 그룹으로 그들의 명성을 널리 떨쳤습니다. 리드 보컬인 캔디스 나이트가 주도하는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게 하는 르네상스 풍의 청아하고 맑은 목소리와 리치 블랙모어의 어쿠스틱 기타 선율이 아우러지면서 지구촌 만인들의 심금을 끊임없이 울려주고 있는 서정적인 포크 록 뉴 에이지 밴드 그룹입니다.
- 김기원의 음악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