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속삭이는 소리가 들려요" - 허먼스 허미츠 / Hermans Hermits

kwkimkw 2025. 2. 11. 03:53

"속삭이는 소리가 들려요 / There's A Kind Of Hush"

- 허먼스 허미츠 / Herman's Hermits

 

 

There's a kind of hursh                                속삭이는 소리가 들려요

all over the world tonight                             오늘 밤 온 세상에서

All over the world,                                        온 세상에서,

you can hear the sounds lovers in love       연인들의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거예요

You know what I mean just the two of us    그대와 나 둘이서만 말에요

and nobody else in sight                              주위에는 아무도 눈에 띄지 않아요

There's nobody else                                    아무도 없어요

and I'm feelin' good just holdin' you tight    그댈 꼭 안는 것만으로 기분 좋아요

 

So listen very carefully                                조심스럽게 들어봐요

Closer now and you will see what I mean  더 가까이 가면 무슨 일인지 알 거예요

It isn't a dream                                            꿈이 아니에요

The only sound that you will hear              그대가 들을 수 있는 유일한 소리예요

Is when I whisper in your ear                    그대 귀에 속삭일 거예요

I love you forever and ever                       그대를 영원히 사랑해요

 

There's a kind of hursh                               속삭이는 소리가 들려요

all over the world tonight                            오늘 밤 온 세상에서

All over the world,                                       온 세상에서,

you can hear the sounds lovers in love      연인들의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거예요

 

La la la la la la la                                        라 라 라 라 라 라 라

La la la la la la la la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La la la la la la la la la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라

La la la la la                                                라 라 라 라 라

 

So listen very carefully                               조심스럽게 들어봐요

Closer now and you will see what I mean  더 가까이 가면 무슨 일인지 알 거예요

It isn't a dream                                            꿈이 아니에요

The only sound that you will hear              그대가 들을 수 있는 유일한 소리예요

Is when I whisper in your ear                    그대 귀에 속삭일 거예요

I love you forever and ever                       그대를 영원히 사랑해요

 

There's a kind of hursh                               속삭이는 소리가 들려요

all over the world tonight                            오늘 밤 온 세상에서

All over the world,                                      온 세상에서,

People just like us are falling in love         사랑에 빠진 연인의 속삭임을 들을 거예요

Yeah, they're falling in love                        네, 사랑에 빠진

They're falling in love                                사랑에 빠진

 

 

   '허먼스 허미츠(Herman's Hermits, 1963)'는 영국의 5인조 록 밴드 그룹입니다. 허먼스 허미츠 그룹의 리드 보컬이며 기타리스트인 '피터 눈(Peter Noone, 1947-)'은 1962년 '허트비트(The Heartbeat)' 밴드 그룹을 결성하고 음악활동을 했습니다. 피터 눈은 영국의 유명한 제작자인 '미키 모스트(Mickie Most, 1938-2003)'와 손을 잡았고 자신의 이름을 '허먼(Herman)'으로 바꾸고 활동하였으며 1963년에 구룹명을 '허먼스 허미츠(Herman's Hermits)'로 바꿔 리드 보컬, 피아노, 기타를 담당하였으며 리드 기타리스트에 '데렉 렉켄비(Derek Leckenby, 1945-)', 기타, 하모니카에 '칼 그린(Karl Green, 1947-)', 리듬 기타에 '키이스 호프우드(Keith Hopwood, 1946-)', 드럼에 '배리 휘트엄(Barry Whithwam, 1946-)' 등으로 구성하여 본격적인 음악활동을 펼치기 시작하였습니다.

 

   허먼스 허미츠 그룹은 1964년에 첫 싱글 '아임 인투 썸싱 굿(I'm Into Something Good)'의 곡을 발표하였고 영국 싱글 차트 1위와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 13위에 오르게 되면서 많은 사랑과 함께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이에 힘입은 허먼스 허미츠 그룹은 1965년에 미국 순회 공연을 나서면서 모국인 영국보다 미국에서 더 큰 인기를 얻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1965년에 발표한 싱글 '내 가슴이 뛰는 소리를 들을 수 없나요(Can't You Hear My Heartbeat)'의 곡을 크게 히트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이끌어냈으며 이어서 '실루엣(Silhouette)'의 곡과 민요인 '미세스 브라운, 당신은 사랑스러운 딸이 있어요(Mrs. Brown, You've Got A Lovely Daughter)', 그리고 '난 이해해요(I Understand)', '멋진 세상(Wonderful World)', '난 헨리 8세, 나는(I'm Henry 8th, I Am)', '조금 더(Just A Little Better)', '피해야만 해요(A Must To Avoid)', '미 앤 마이 걸(Me And My Girl)', '홀드 온!(Hold on!)', '댄디(Dandy)' 등의 곡도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난 이해해요(I Understand)'의 원곡은 스코틀랜드 가곡 '올드 랭 사인 / 지난 그리운 추억 / 그리운 옛날(Auld Lang Syne / Old Long Since)'의 곡입니다. '올드 랭 사인 / 지난 그리운 추억 / 그리운 옛날(Auld Lang Syne / Old Long Since)'의 곡은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로버트 번즈(Robert Burns, 1759-1796)'의 작시에 1788년 작곡된 스코틀랜드 가곡입니다. 이 가곡은 1940년에 '머빈 르로이(Mervyn Leroy, 1900-1987)'가 감독과 연출을 맡았고 '허버트 스토타트(Herbert Stothart, 1885-1949)'가 음악을 맡았으며 '로버트 테일러(Robert Taylor, 1911-1969)'와 '비비안 리(Vivien Leigh, 1913-1967)'가 열연한 영화 '애수 / 워터루 브리지(Waterloo Bridge, 1940)'의 O.S.T. 주제 테마곡으로 삽입되었습니다. 영화 애수(Waterloo Bridge, 1940)는 제1,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비극적인 러브 스토리를 그린 전쟁 멜로 드라마로 지구촌의 수많은 연인들의 심금을 울려준 고전 흑백 영화 중 명화입니다. 이 영화의 대 히트와 함께 '올드 랭 사인 / 지난 그리운 추억 / 그리운 옛날(Auld Lang Syne / Old Long Since)'의 주제 테마곡은 지구촌 곳곳에 널리 알려지게 된 세계적인 명곡이 되었습니다.

 

   이 곡은 우리나라에서 '석별 / 석별의 정'이라는 제목으로 번안되었고 이별의 안타까움을 달래주는 노래로 알려졌던 것입니다. 하지만 스코틀랜드에서는 헤어진 친구와 다시 만나는 재회의 기쁨을 나누는 노래로 불려졌습니다. 이는 헤어짐이 있기에 만남이 있고 만남이 있기에 헤어짐이 있다는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일이라고 보여집니다.

 

   특히 이 곡은 안익태 작곡가의 애국가가 우리나라의 정식 국가로 지정되기 이전인 대한제국과 상해임시정부 때에 이 곡만을 차용하고 우리나라의 가사를 붙여 애국가로 부르기도 하였던 유명한 명곡입니다.

 

   이후 이 곡은 1953년에 미국의 팝 보컬인 '패트 베스트(Pat Best)'에 의해 리메이크된 '난 이해해요(I Understand)'의 곡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이 '난 이해해요(I Understand)'의 곡은 다시 1954년에 미국 팝 보컬 그룹 '포 툰스(The Four Tunes)'에 의해 발표되었고 미국 빌보드 차트 정상을 6주간 차지하였습니다. 그리고 같은 해인 1954년에는 미국 TV 쇼 프로그램 진행자이며 여성 보컬리스트인 '준 밸리(June Valli / June Foglia, 1928-1993)'에 의해 발표되었고 미국 빌보드 차트 정상을 8주간 차지하는 등 대 히트를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1961년에는 미국의 5인조 소울 그룹 '지 클렙스(The G - Clefs, 1952)'에 의해 발표되었고 미국 빌보드 톱 텐 차트 9위와 영국 싱글 차트 17위에 오르는 등 꾸준하게 인기를 이끌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1965년에는 영국의 5인조 록 밴드 그룹 '허먼스 허미츠(Herman's Hermits, 1963)'의 발표를 비롯하여 세계 각국의 유명 가수들에 의해 리바이벌 혹은 리메이크되어 불려진 세계적인 명곡이 되었습니다.

 

   허먼스 허미츠 그룹은 1967년에 '브레이즈(Blaze)', 지금 흐르고 있는 '속삭이는 소리가 들려요(There's A Kind Of Hush)', '오늘 우유 넣지 마세요(No Milk Today)' 등의 곡을 발표하였고 많은 사랑과 함께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허먼스 허미츠 그룹은 1971년까지 지속적인 인기를 누렸으나 리드 보컬리스트인 허먼(Herman)이 그의 본명인 '피터 눈(Peter Noone)'으로 솔로 활동을 펼치기 시작하면서부터 사실상 그룹이 해체하게 되었습니다.

 

   이들 허먼스 허미츠 그룹은 1973년에 그룹을 떠나 솔로로 진출한 피터 눈과 그룹을 떠난 키이스 호프우드를 제외한 오리지날 원년 멤버들인 칼 그린, 데렉 렉켄비, 배리 휘트먼 등이 주축이 되어 다시 새롭게 결성을 하였고 음악 활동을 펼쳤습니다.

 

- 여러분 안녕들 하십니까

지난 임진년에는 내로는 경기침체로 인한 일부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었고 외로는 극소수 일인들의 터무니 없는 독도 영유권 주장으로 분노를 일깨운 안타까운 한 해였습니다. 역사 앞에 눈을 가린 일본이 과거의 만행에 대해 놀라울 정도로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못하고 1905년 일본 제국주의의 팽창주의의 첫 삽질에 불과한 독도 영유권을 다시 들고 나와 우리는 분노를 삼켜야 했습니다. 우리는 이 치솟는 분노를 거울삼아 대단결의 깃발 아래 다시 한번 각오를 다져야 하겠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베풀어 주신 따뜻한 후의에 가슴 깊이 감사를 드립니다. 다가오는 2013년 계사년에는 금빛 나는 한 해가 되시고 뜻하시는 모든 꿈 빠짐없이 이루시고 가내 두루 다복하시고 건안 건필하시면서 최고로 행복하시기를 빌겠습니다.

 

   - 김기원의 음악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