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 리자 / Mona Lisa" - 냇 킹 콜 / Nat King Cole
"모나 리자 / Mona Lisa"
- 냇 킹 콜 / Nat King Cole
Mona Lisa, Mona Lisa, man have named you 모나 리자 모나 리자, 사람들이 당신을 그렇게 부르고 있어요
You're so like the lady with the mystic smile 당신은 신비로운 미소가 깃든 그녀와 똑같았지요
Is it only 'cause you're lonely they have blamed you? 당신은 외롭다는 이유 때문에 비난을 받고 있는가요
For that Mona Lisa strangeness in your smile? 당신의 미소에 담긴 모나 리자의 신비로움 때문인가요
Do you smile to tempt a lover, Mona Lisa? 당신은 연인을 유혹하기 위해 미소짓고 있나요 모나 리자
Or is this your way to hide a broken heart? 아니면 상처 받은 마음을 감추기 위한 방편인가요
Many dreams have been brought to your doorstep 수많은 꿈들이 당신 가까이에 다가왔었지요
They just lie there and they die there 당신 옆에 머물기도 하고 거기에서 사라지기도 하였지요
Are you warm, are you real, Mona Lisa? 당신은 따뜻한가요 살아있는 사람인가요 모나 리자
Or just a cold and lonely lovely work of art? 아니면 그저 차갑고 고독한 사랑스러운 예술작품인가요
Interlude 연주
Do you smile to tempt a lover, Mona Lisa? 당신은 연인을 유혹하기 위해 미소짓고 있나요 모나 리자
Or is this your way to hide a broken heart? 아니면 상처 받은 마음을 감추기 위한 방편인가요
Many dreams have been brought to your doorstep 수많은 꿈들이 당신 가까이에 다가왔었지요
They just lie there and they die there 당신 옆에 머물기도 하고 거기에서 사라지기도 하였지요
Are you warm, are you real, Mona Lisa? 당신은 따뜻한가요 살아있는 사람인가요 모나 리자
Or just a cold and lonely lovely work of art? 아니면 그저 차갑고 고독한 사랑스러운 예술작품인가요
Mona Lisa, Mona Lisa 모나 리자 모나 리자
'냇 킹 콜(Nat King Cole / Nathaniel Adams Cole, 1917-1965)'은 1917년 미국 태생이며 1960년대와 1970년대 전 세계의 대중 음악계를 휩쓴 미국의 재즈 싱어이자 최고의 흑인 소울 싱어입니다.
그는 어려서 그의 어머니로부터 오르간을 배웠으며 4세 때 음악회를 열 정도로 악재로 알려졌습니다. 12세 때부터 본격적으로 재즈나 가스펠이 아닌 유럽 클래식을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인터뷰에서 그는 '바흐부터 라흐마니노프까지 공부하면서 나의 피아니스트로서의 재능을 키워왔으며 향후 고귀한 이미지로 백인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다'고 피력했습니다.
냇 킹 콜은 처음에 재즈 피아니스트로 활동하였으며 백인으로부터 사랑을 받은 최초의 흑인 아티스트이자 지구촌 곳곳에서도 인기와 사랑을 듬뿍 받은 최초의 흑인 아티스트로 평가 되고 있습니다.
시카고에서 유년을 보낸 냇 킹 콜은 1937년에 로스앤젤레스의 재즈 클럽에서 연주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1939년에 기타 연주자인 '오스카 무어(Oscar Moore, 1907-1980)', 베이스(Bass) 연주자인 '웨슬리 프린스(Wesley Prince)' 등과 함께 '킹 콜 트리오(King Cole Trio)' 그룹을 결성하였습니다. 냇 킹 콜은 자신이 편곡한 재즈 음악에 엇박자로 간결하게 바쳐주는 화음과 깨끗하고 절제된 선율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피아노의 역할을 리듬으로 국한시키지 않고 독주악기의 영역으로까지 확장시키기도 하였습니다.
그는 1943년 '몸을 펴고 날아라(Straighten Up And Fly Right)', '종이 달일 뿐이에요(It's only A Paper Moon)' 등의 곡을 발표한 이후 점차 대중가수로서의 진입을 위해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였습니다. 냇 킹 콜은 따뜻하고 편안하면서 서정성이 넘치는 감미로운 목소리로 발라드를 불렀고 많은 사랑과 함께 인기를 누렸습니다.
1946년에 발표한 '66번 국도(Route 66)', 같은 해인 1946년에 발표한 '크리스마스 송(The Chrismas Song)', 1968년에 발표한 '한 소년(Nature Boy)'의 곡에 이어 1950년에 발표한 지금 흐르고 있는 '모나 리자(Mona Lisa)'의 곡이 빌보드 차트 1위에 오르면서 스탠다드 팝 가수의 입지를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1951년에는 러브 발라드인 '투 영 / 너무 어리다고(Too Young)'의 곡을 발표하였고 많은 사랑과 함께 폭발적인 인기에 힘입어 밀리언 셀러 음반 기록을 세우기도 하였습니다. 원래 이 곡은 처음에 '조니 데스몬드(Johnny Desmond, 1919-1985)'가 불렀으나 냇 킹 콜이 1951년 3월 레코딩하여 발표한 후 냇 킹 콜의 명성과 함께 이 곡이 널리 알려지게 된 명곡이 되었습니다. 이 곡은 후에 '페리코모(Perry Como, 1912-2001)', '토니 윌리엄스(Tony Williams, 1945-)' 등에 의해 리바이벌 되었으며 그 후로도 '도니 오스몬드(Donny Osmond, 1957-)'를 비롯하여 많은 가수들에 의해 리바이벌 혹은 리메이크된 불후의 명곡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이어 같은 해인 1951년에 발표한 '잊을 수 없어요(Unforgettable)'의 곡도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냇 킹 콜은 1954년에 발표한 '마음으로 그대를 사랑해요(I Love You For Sentimental Reasons)', '대답해주세요 내 사랑(Answer Me My Love)', 1955년에 발표한 '꽃 한 송이가 떨어졌어요(A Blossom Fell)' 등의 곡에 이어 1956년에는 솔로 앨범 'Ballad Of The Day'를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그는 미국과 유럽은 물론 세계 곳곳에서 가장 감미로운 목소리의 스탠다드 팝 싱어로서의 그의 명성을 떨치게 된 계기가 되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같은 해인 1956년에는 '로버트 알드리치(Robert Aldrich, 1918-1983)'가 감독을 맡았고 '한스 제이 샐터(Hans J. Salter, 1896-1994)'가 음악을 맡은 영화 '고엽(枯葉 / Autumn Leaves, 1956)'의 O.S.T. 테마곡인 '고엽(枯葉 / Autumn Leaves)'의 곡을 불러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냇 킹 콜은 1957년에 발표한 '내가 사랑에 빠질 때(When I Fall In Love)', '사랑의 편지(Love Letters)' 등의 곡을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1958년에는 미국의 '알렌 라이스너(Allen Reisner, 1924-2004)'가 감독을 맡았고 미국의 '블루스의 아버지(Father Of Blues)'로 불려졌던 전설의 작곡가이자 송라이터인 '윌리엄 크리스토퍼 핸디(William Christopher Handy, 1873-1958)'의 일생을 그린 영화 '세인트 루이스 블루스(St. Louis Blues, 1958)'에 출연하였으며 극중의 '윌리엄 크리스토퍼 핸디(William Christopher Handy, 1873-1958)' 역을 맡아 주제 테마곡 '세인트 루이스 블루스(St. Louis Blues)'의 곡을 부르는 등 열연하기도 하였습니다.
냇 킹 콜은 1960년에 발표한 '오 거룩한 밤(O Holy Night)', '온 세상에 기쁨을(Joy To The World)', '캐럴링 캐럴링(Caroling Caroling)', '고요한 밤(Silent Night)', 1961년에 발표한 '날 불러주세요(Send For Me)', 1962년에 발표한 '넝쿨 장미(Ramblin' Rose)', '이제 그만 가 달라고(He'll Have To Go)', 1963년에 발표한 경쾌한 스윙 풍의 곡 '게으르고 헷갈리는 미친 여름날들(Those Lazy-Hazy-Crazy Days Of Summer)' 그리고 1964년에 발표한 '사랑은(Love)' 등의 곡들도 크게 히트하였고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1965년에는 미국의 작가 '로이 챈슬러(Roy Chanslor, 1899-1964)'의 소설 '캣 벌루의 발라드(The Ballad Of Cat Ballou)'를 토대로 '엘리어트 실버스타인(Elliot Silverstein, 1927-)'이 감독을 맡았고 '프랭크 디 볼(Frank De Vol, 1911-1999)', '맥 데이빗(Mack David, 1912-1993)', '제리 리빙스턴(Jerry Livingston, 1909-1987)' 등이 음악을 맡은 코미디 서부 영화 '캣 벌루(Cat Ballou, 1965)'에 출연하기도 하였습니다.
냇 킹 콜은 1950년에 아카데미 어워드 최우수 주제가상과 1990년에는 그래미 어워드 평생공로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그는 중저음의 부드럽고 편안한 목소리로 읊조리듯 노래하였고 지구촌 만인들의 심금을 울려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프랭크 시나트라(Frank Sinatra, 1915-1998)', '빙 크로스비(Bing Crosby, 1903-1977)'와 더불어 미국의 국민 가수로 우뚝 서 있는 것입니다.
재즈와 스탠다드 팝을 아우르면서 당대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팝 스타 냇 킹 콜의 찬란한 별이 캘리포니아 주 산타 모니카(Santa Monica) 소재 성 존 병원(St. John's Hospital)의 한 병실에서 홀연히 떠났습니다. 그는 한창의 나이로 48세의 아까운 나이인 1965년 2월 15일에 폐암의 악화에 의해 우리 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팝 스타 냇 킹 콜이 떠난 지 27여 년이 흘러갔습니다. 1992년 2월 25일에 열린 제34회 그래미 시상식은 그래미 역사상 가장 감동적인 행사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산자와 죽은자의 듀엣곡 '잊을 수 없어요(Unforgettable)'의 곡이 열창되었던 것입니다.
냇 킹 콜의 딸이자 미국의 재즈와 스탠다드 팝 가수인 '나탈리 콜(Natalie Cole, 1950-)'이 무대 위에 올라섰습니다. 화면 속 영상을 통해 이미 고인이된 아버지 냇 킹 콜과 함께 그의 아버지 생전의 히트곡인 '잊을 수 없어요(Unforgettable)'의 곡을 듀엣으로 열창한 감동의 영상 무대였습니다. 고도의 영상 합성기술로 정교하게 레코딩되어 부녀가 함께 노래를 부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하였습니다. 관객들로부터 폭발적인 인기와 감동의 기립박수를 받았습니다. 고 냇 킹 콜과 나탈리 콜의 부녀 듀엣 명곡이 탄생한 황금빛 무대가 되었습니다. 나탈리 콜은 이 앨범 'Unforgettable...With Love'로 1992년 그래미 올해의 앨범상(Album Of The Year)과 1992년 그래미 올해의 레코드상(Record Of The Year) 등 7개 부문의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누렸고 이는 사랑하는 딸에게 준 아빠의 값진 선물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 김기원의 음악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