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날 도와주세요 /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 - 그레이디스 나이트 앤드 더 핍스 / Gladys Knight & The Pips

kwkimkw 2025. 2. 4. 16:56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날 도와주세요     

 /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

 - 그레이디스 나이트 앤드 더 핍스 

 / Gladys Knight & The Pips

 

 

- I'm imagining a lot of happy people        나는 많은 행복한 사람들을 상상해봤어요

And most of you are                                  여러분들 대부분은

with someone you love                             여러분들이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행복을 나누실 거라고 생각해요

 

Well, you are the lucky ones                   그래요, 여러분들은 운이 좋은 사람들이에요

All over the world, there are                     하지만 이 세상에는

lots of people who are alone tonight        오늘 밤 외롭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많이 있답니다

 

I imagine most of us have been               우리들 대부분도 외롭다는 생각을 한번은 해봤을 거예요

it that situation at one time or another      한번쯤 외로운 경우가 있으셨을 거예요

I know I have                                           나도 그런 적이 있었거든요

 

Recently, I heard a beautiful song            최근에, 나는 가장 아름다운 노래를 들었답니다

with a dynamic lyric that really                  내 마음을 흔들어 놓을만한 경이로운 노래였지요

Expresses this feeling of lonlieness         극도의 외로움을 나타낸 노래였답니다

 

It means a lot to me,                                  많은 의미를 지닌 음악이라,

Personally and I'd like to share with you   개인적으로 난 여러분들과 함께 나누고 싶어요

I think you'll see what I mean                   여러분들도 이런 내 마음을 잘 알 거라고 생각합니다

 

- Take the ribbon from my hair                    나의 머리에 달린 리본을

Shake it loose and let it fall                        흔들어서 느슨하게 늘어뜨려요

Layin' soft against your skin                       그리고 그대 살결 위에 살며시 내려놓으세요

Like the shadows on the wall                     벽에 비친 그림자처럼

 

Come and lay down by my side                 이리와서 내 곁에 누우세요

Till the early mornin' light                           아침 햇살이 비칠 때까지

All I'm takin' is your time                            내가 바라는 건 그저 그대 뿐이에요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날 도와주세요

 

I don't care what's right or wrong                누가 옳은지 그른지 상관 않겠어요

and I won't try to understand                      이해하려고 노력하지도 않을 거예요

Let the devil take tomorrow                        내일은 악마에게 넘겨주고

Lord, tonight I need a friend                       임이시여, 오늘 밤 난 친구가 필요해요

 

Yesterday is dead and gone                       어제는 사라져 가버렸고

And tomorrow's out of sight                        내일은 보이지도 않아요

And it's so sad to be alone                          홀로 있는 건 너무 서글퍼요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날 도와주세요

 

Hm...hm... Hm...hm...                                  음...음... 음...음...

 

Lord, it's so sad to be alone                       임이시여, 홀로 있는 건 너무 서글퍼요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날 도와주세요

Hu...hu...                                                     우...우...

me make it through the night                      날 이 밤이 지날 때까지

Hu...hu...                                                     우... 우...

c'mon and take me through the night         제발 날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도와주세요

Hu...hu...                                                     우...우...

through the night                                         이 밤이 지날 때까지

 

 

   '그레이디스 나이트 앤드 더 핍스(Gladys Knight & The Pips, 1953-1989)' 그룹은 1953년에 미국 애틀란타 주 조지아(Georgia, Atlanta)에서 결성되었고 1989년에 해체된 미국의 R&B 소울 그룹입니다. 그룹의 리드 보컬인 '그레이디스 나이트(Gladys Knight, 1944-)'가 주축이 되었고 그녀의 오빠 '머랄드 부바 나이트(Merald Bubba Knight, 1942-)'와 사촌형제인 '에드워드 패튼(Edward Patten, 1939-2005)'과 '윌리엄 게스트(William Guest, 1941-)' 등으로 결성된 가족 밴드 그룹입니다. 처음에는 그룹 이름을 '더 핍스(The Pips)'로 활동하였고 이름을 '그레이디스 나이트 앤드 더 핍스(Gladys Knight & The Pips)'로 바꾸면서 왕성한 음악 활동을 보여주기 시작하였습니다. 1961년에 '내 심장이 뛸 때마다(Every Beat Of My Heart)'의 곡을 불렀고 히트하였습니다.

 

   그레이디스 나이트 앤드 더 핍스 그룹은 1967년에 '모타운 레코드(Motown Records)사와 손을 잡았고 앨범 'Everybody Needs Love'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누구나 사랑이 필요한 거예요(Everybody Needs Love)', '날 그대 품에 안고 사랑해주어요(Take Me In Your Arms And Love Me)', '그래요, 난 준비되었어요(Yes, I'm Ready)' 등의 곡을 히트하였으며  '난 소문으로 들었어요(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의 곡을 미국 빌보드 R&B 차트 1위에 올리는 등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1972년에는 앨범 'If I Were Your Woman'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내가 당신의 여자라면(If I Were Your Woman)'의 곡을 빌보드 R&B 차트 1위에 올리는 등 크게 히트하였으며 '난 잘못하고 싶지 않아요(I Don't Want To Do Wrong)', 지금 흐르고 있는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날 도와주세요(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 등의 곡도 많은 사랑을 받으면서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날 도와주세요(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의 곡은 미국의 작곡가이며 내쉬빌 컨트리와 웨스턴 사운드를 대중화시켰던 뮤지션인 '크리스 크리스토퍼슨(Kris Kristofferson, 1936-)'이 작곡한 명곡입니다. 그의 3대 컨트리 히트곡 중 하나인 '이 밤이 지날 때까지 날 도와주세요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는 1970년에 그가 직접 부르면서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이 곡은 1971년에 '삼미 스미스(Sammi Smith, 1943-)'에 의해 발표되었고 같은 해인 1971년에는 빌보드 팝 차트 8위와 컨트리 차트 1위에 오르는 등 많은 사랑과 함께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아울러 삼미 스미스는 '최우수 컨트리 여성 보컬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기도 하였습니다.

 

   1972년에는 이 곡을 '그레이디스 나이트 앤드 더 핍스(Gladys knight & The Pips)'가 리메이크하여 불렀습니다. 그레이디스 나이트 앤드 더 핍스 그룹의 리더 보컬인 '그레이디스 나이트(Gladys Knight, 1944-)'가 특유의 애틋한 목소리로 불렀고 다시 한번 많은 인기를 이끌어 내면서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그 후 이 곡은 무려 250여 명이나 되는 많은 가수들에 의해 리바이벌 혹은 리메이크되어 불려진 명곡이 되었습니다.

 

   1973년에는 앨범 'Neither One Of Us'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우리의 누구도(Neither One Of Us)'의 곡을 빌보드 R&B 차트 1위에 올렸고 '내 인생 처음으로(For Once In My Life)', '이게 사랑이에요(And This Is Love)' 등의 곡도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그레이디스 나이트 앤드 더 핍스 그룹은 1973에는 부다 레코드(Buddah Records)사와 손을 잡았고 앨범 'Imagination'을 발표하였습니다. 수록된 '조지아로 가는 밤 기차(Midnight Train To Georgia)'의 곡을 빌보드 핫 100차트 1위와 R&B 차트 1위에 각각 올리는 등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그리고 '난 내 상상력을 동원하고 있어요(I've Got To Use My Imagination)', '내게 있었던 일 중 가장 최고는(Best Thing That Ever Happened To Me)' 등의 곡도 빌보드 R&B 차트 1위에 오르는 등 많은 인기를 이끌었습니다. 이어서 1974년에는 앨범 'I Feel A Song'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난 노래를 느끼고 있어요(I Feel A Song)'의 곡을 빌보드 R&B 차트 1위에 올렸습니다. 그리고 1973년에 '시드니 폴락(Sydney Pollack, 1934-2008)'이 감독을 맡았고 '마빈 햄리시(Marvin Hamlisch, 1944-2012)'가 음악을 맡았으며 미국의 배우, 가수이자 영화 제작자로 널리 활동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Barbra Streisand, 1942-)'가 열연하고 열창한 영화 '추억 / 그 시절 우리들(The Way We Were, 1973)' O.S.T. 테마곡 '그 시절 우리들(The Way We Were)', '사랑은 저 스스로 길을 찾지요(Love Finds It's Own Way)'의 곡도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그레이디스 나이트는 1976년에 '스태픈 베로나(Stephen Verona, 1940-)'가 감독을 맡았고 그레이디스 나이트 앤드 더 핍스 그룹이 음악을 맡은 영화 '파이프 드림스(Pipe Dreams, 1976)'에 출연하여 열연하였고 O.S.T. 테마곡 '슬픈 노래(So Sad The Song)' 등의 곡도 열창하였으며 많은 사랑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1978년에는 앨범 'The one And only'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유일한(The one And only)', '자신에 충실하세요(Be Yourself)', '그동안 내내(All The Time)', '나비(Butterfly)' 등의 곡을 많은 사랑을 받으면서 히트하였습니다.

 

   그리고 1980년에는 컬럼비아 레코드(Columbia Records)사와 손을 잡았고 앨범 'About Love'를 발표하였으며 수록된 '랜드로드(Landlord)', '아직도 그러한 일이(Still Such A Thing)', '사랑을 받고(Get The Love)' 등의 곡을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1983년에는 앨범 'Vision'을 발표하였고 수록된 '영웅(Hero)', '그대가 멀리 있을 때(When You're Far Away)', '하늘이 내려주신(Heaven Sent)' 등의 곡을 히트하였습니다. 1985년에는 앨범 'Life'를 발표하였고 수록된 '인생(Life)', '그대를 사랑할 거예요(Just Let Me Love You)', '영원히(Forever)' 등의 곡을 히트하였습니다. 

 

   1987년에는 MCA 레코드(MCA Records)사와 손을 잡았고 앨범 'All Our Love'를 발표하였으며 수록된 '바다 사랑(Love Overboard)'의 곡을 빌보드 R&B 차트 1위에 올렸으며 많은 인기를 이끌어내기도 하였습니다.

 

   1989년에 '그레이디스 나이트 앤드 더 핍스' 그룹이 해체되었고 그레이디스 나이트는 솔로로 활동하였습니다. 자신의 가족 그룹 그레이디스 나이트 & 더 핍스의 활동으로 유명해진 그레이디스 나이트는 1991년에 솔로 앨범 'Good Woman'을 발표하였습니다. 수록된 '맨(Men)', '착한 여자(Good Woman)', '네가 알기만 하면(If You only Knew)', '인생에는(In This Life)', 미국의 여가수이자 '휘트니 휴스턴(Whitney Houston, 1963-)'의 사촌 언니인 '디온 워윅(Dionne Warwick, 1940-)'과 미국의 여가수이자 배우인 '패티 라벨(Patti Labelle, 1944-)'과 함께 부른 '슈퍼우먼(Superwoman)', 미국의 R&B, 가스펠(Gospel) 가수인 '대이빗 피스턴(David Peaston, 1957-)'과 함께 부른 '기회를 주세요(Give Me Chance)' 등의 곡을 많은 사랑을 받으면서 크게 히트하였습니다.

 

   그리고 2005년에 싱글 '당신은 그곳에 계셨어요(You Were There)', 2008년에 싱글 '추억의 밤(A Night To Remember)', 2009년에 싱글 '그의 눈이 참새에 있듯이(His Eye Is on The Sparrow)' 등의 곡을 불렀고 히트하였습니다. 그리고 2009년에는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 1958-2009)'의 장례식에서 '하느님의 기도(The Lord's Prayer)'를 열창하였고 많은 사랑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2010년에 앨범 'For Colored Girls'에 수록된 싱글 '세틀(Settle)' 등의 곡을 많은 사랑과 함께 히트하였습니다. 그레이디스 나이트는 '소울의 황후(Empress Of Soul)'로 불려졌습니다. 7회에 걸쳐 그래미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고 1989년에 조지아 뮤직 명예의 전당에 이어 1996년에는 록 앤 롤 명예의 전당에도 오르는 영광을 누리기도 하였습니다. 그녀의 허스키한 거친 음색의 목소리는 슬픈 여자의 마음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해준 그녀 특유의 목소리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녀의 거칠고 스모키한 목소리는 지금까지도 지구촌 곳곳 만인들의 심금을 끊임없이 울려주고 있는 것입니다.

 

   - 김기원의 음악세상 -